사진으로 본 방송역사 62

이승만 국회의장·방송인이 함께 한 헌법서명 기념사진

대한민국 역사상 최초로 헌법이 제정 공포되던 날 1948년 7월 17일, 이승만 국회의장과 이정섭 조선방송 협회장(우), 홍양명 중앙방송국장 (좌), 송영호 편성과장(뒤)이 함께 한 역사적인 사진이다. 엄복영 회우로부터 강원도 화진포 이승만 별장에 이 사진이 있다는 말을 듣고 송현식 회우에게 전했더니 바로 보여주셨다. JODK 마지막 기획과장 이정섭은 해방 후 조선방송협회장(정부수립 후 대한방송협회장)으로 재직하다가 6.25때 납북되었다. 신경(장춘)에서 만선일보 편집국장으로 재직하던 홍양명(洪陽明)은 군정청 초대 이혜구 방송국장에 이어 1947년 8월 15일 2대 중앙방송국장으로 취임 정부 수립 때까지 재직했고 6.25때 납북되었다. 1938년 아나운서로 입문한 송영호는 (송현식 회우 부친) 해방 후 ..

6.25 마지막 방송과 김현수 대령 순직

1950년 6월 27일 밤 9시 이후의 방송은 멀리서 들려오는 포성을 들으며 급박한 상황에 대전방송국에서 보내온 이승만 대통령의 특별방송·전황·행진곡·애국 시 등으로 이어지다가 12시에 마치고 방송 거부 장치를 했다. 한강건너 영등포 우체국에서 방송 할 예정으로 비상 방송기기를 트럭에 싫고 새벽 2시 10분경 방송국을 출발했다. 2시30분경 한강교에 도달했으나, 이미 자동차가 한강을 건너는 것은 불가능했다. 여름비가 내리는 칠흑 같은 밤, 자동차에서 내려 8명의 방송인들은 손에 손을 잡고 서로의 이름을 부르며 한강교를 막 건넜을 때 천지를 진동하는 폭음이 울렸다. 그 폭음이 한강 폭파 음이었다는 것을 한 것은 뒷날이었다. 관악산을 넘어 안양에 도착해서 7시경 라디오 다이얼을 맞추니 뜻밖에도 행진곡이 방송..

동요의 기원 「반달」과 방송

2024년이면 우리나라에서 시험방송 전파가 발사 된지 100년임과 동시에 동요 100년을 맞는다. 이 땅에 방송과 동요는 시발점을 같이하고 방정환 선생님의 「어린이 운동」과도 맥을 같이한다. 방정환선생님이 1922년 5월 1일을 어린이 날로 정하고 색동회를 결성하면서(어린이 날 기원이 1923년이라고도 하는데 KBS에서 올해 어린이 날 100주년 기념행사를 준비 중이어서 여기에 따름) 일본 유학중인 윤극영을 찾아 동요 제작과 색동회에 참여 해 주도록 부탁한다. 그로부터「반달」이 탄생하고 방정환 창간 「어린이」잡지에 실려 1924년10월 20일자 동아일보에 보도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된다. 그때 어린 학생 이정숙의 목소리로 부른 반달을 사우회 사이버 박물관에서 들을 수 있다. 어린이날을 만든 방정환은 시험방..

라디오 방송 스튜디오 아나운서(尹吉九)

방송을 소리로만 듣던 시절! 방송인들의 모습은 상상의 나래를 폈다. 방송을 들으면서도 어떤 분이 어떤 모습으로 방송을 하고 있는 것일까? 늘 궁금했다. 방송의 별이라고 일컬었던 윤길구 아나운서 손주 윤병주님께서 보내주신 특이한 두 장의 사진을 골랐다. (좌) 는 1943년 입사당시이고 (우) 는 6.25 피난 시절 부산방송 스튜디오에서다. 특이한 군복차림! 윤길구 아나운서는 전쟁 중 대부분 이 옷을 입고 살았고 그래서 자주 話題에 올랐다. 여름에도 왜? 그런 옷을 입느냐고 물으면 "더운 날에도 이런 옷을 입어야 더운 공기가 몸 안으로 들어 올 수 없다" 면서 유머러스하게 넘겼고 더운 날 식사를 하면서 옷을 벗는 게 좋겠다고 권유해도 벗는 법이 없었다. 실은 內衣를 입지 않아서 옷을 벗을 수 없었을 것이라..

KBS 한국방송공사 창립

2022년 3월 3일은 공사창립 49주년이다. 오른쪽 사진은 공사창립식이 있던 날 임원과 사무관급 이상 간부들이 함께 한 사진으로 KBS사우회 사이버 박물관에 그 성함이 기재되어 있다. (전영효 회우제공) 1970년대 들어 KBS가 더 이상 국영방송으로 존속하기 어려운 상황에 이르러 1971년 공영방송의 꿈을 안은 윤주영 문화공보부장관이 취임하면서 공사추진이 급물살을 탔다. 최창봉 중앙방송국장 영입과 노정팔 방송관리국장 임명으로 실무진을 갖추어 공사창립 계획을 추진, 1972년 12월 30일, 한국방송공사법이 공포되었다. KBS 유 일봉 기획 조사실장과 민 두식 서무과장을 반장으로 8명의 실무반이 편성 된 것은 1973년 1월 10일경이었다. 실무 반은 공사 창립과 동시에 시행될 기본규정과 예산을 편성하..

그때 그 방송기술인들 1960-70년대

사우회 정근춘 회장께서 언젠가 저에게 “사진이 한 장 있는데 아랫부분이 다 달아나버렸다”고 그러더군요. 보내 봐라 해서 살펴봤더니 아랫부분이 달아난 것이 아니고 이게 다 눈이에요. 길도 없는 눈밭을 개를 앞세워 장비를 싣고 가는 거죠. 고지의 송신소에 사고가 나면 인근의 10만 명이 TV를 못 보게 되요. 그러면 이렇게 짐을 싣고 가서 고쳤던 거죠. 엔지니어들은 자신들이 겪은 일이기에 다 그런 줄 알아요. 그래서 “세상에 이런 일 안 겪은 사람이 어디 있냐?”고 합니다. 하지만 저는 말하죠. “당신들이나 겪고 당신들이나 알지 그걸 누가 아냐.”고. 기억되어야 할, 한국방송의 역사니까요. KBS가 발행한 공영방송 제5호 (2015년 12월 30일) 「김동식의 마이크를 끄고」에서 필자와 인터부한 글 일부를 ..

KBS-TV개국 1961년 12월 31일

호출부호 HLCK, 영상출력 2Kw, 음향출력 1Kw, 채널 9로 대한민국 기간방송 KBS가 방송을 내 보낸 지, 12월 31일로 60년이 된다. 예산이 책정된 것도 아니고, 집지을 땅이 있었던 것도 아닌 상황에서 일국의 TV기간방송이 계획단계로부터 불과 5개월 만에 그 결실을 보아 방송을 내 보낸 것이다. 5.16으로 들어선 군사정부가 국민들에게 줄 큰 선물을 찾던 중, 그해 7월에 취임한 오재경 장관은 전직 공보실장시절부터 꿈이던 TV방송을 제안했고 그 안이 받아 들여져 때 마침 뜻밖에 마련된 20만 달러의 자금이 있었는지라, 그 재원을 바탕으로 TV방송은 추진되었다. 위 1번 사진을 제공한 임택근 아나운서는 ‘엄동설한에 부랴부랴 건축된 방송국이라 미쳐 잔손질이 안 되어 첫 방송을 할 때는 난방도 안..

남산방송시대의 개막 1957년 12월 10일

1957년 12월 10일 남산기슭에 KBS 새로운 방송사옥이 문을 열어 1976년 여의도로 옮기기까지 20년 가까운 세월 남산방송시대가 꽃을 피웠다. 일본침략의 마수가 뻗치면서 세워진 통감부로부터 1926년 경복궁 뜰에 마련된 건물로 옮기기 까지 이곳에 있었던 총독부 가 박물관, 과학관 등으로 쓰이다가 1956년 오재경 공보실장이 취임하면서 이곳에 KBS방송국 신축을 추진 1281평의 대지위에 1층 350평, 2층 347.5평, 3층 114.2평으로 된 현대식 방송국이 완공되었다. 이승만 대통령을 비롯한 3부요인들, 문화예술인, 외교사절 등 남산의 공개홀을 가득매운 가운데 준공식을 가졌고 날마다 진행된 각종 축하방송이 울려 퍼지는 가운데 역사적인 남방방송시대를 연 것이다. 이를 계기로 1953년 8월 1..

KBS어린이 합창단과 작곡가 이수인

1947년 9월 배준호 프로듀서의 제안으로 창단된 KBS어린이 합창단! 길고 긴 세월! 한용희·박인채 등 명 프로듀서와 현재덕·정세문·안병원·박흥수·이은열·최 충·유병무·김규환·이수인 등 명작곡가들로 이어진 지휘자들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65년간 한동일·정명화·정경화 ·이규도·정명훈·조수미·신영옥 등 세계적인 예술가를 비롯해서, 2,500 여명의 단원을 배출하면서 세운 공이야 말로 필설로 표현 할 수 없을 만큼 크다. 그 중에서도 6.25때는 국민과 군의 사기를 높여주는데 큰 공헌을 했고 전쟁이 끝난 1954년 국민사절로 4개월간 백악관 연주를 비롯해서 미국 전역 순회공연으로 국위를 선양함과 동시에 많은 원조를 유치해서 국가재정에 큰 도움을 주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88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1987년 최..

방송기자 1호 문제안(文濟安)과 군정청 최초 연두기자회견

1946년 1월 16일,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의 연두기자(군정청)회견이 있었다. 1945년 8월 16일 해방되던 그 다음날 방송기자가 된 문제안의 귀중한 사진 속에 군정청 당국자들과 기자들이 함께 한 이 역사적인 사진이 있다. (1945년 11월 1일 신경-지금의 장춘-에서 활동 하던 조동훈이 기자로 오기 전 까지 KBS에는 문제안 기자 만 있었다. 문제안은 해방 전 날 밤 「同盟通信(도오메이 쯔우싱)」에서 해방소식을 취재 하던 중 헌병대에 감금당했고, 해방되던 다음날 아침 임시로 명명된 방송국이름 「SEOUL STATION」을 붓글씨로 써 걸기도 했다. 8월 15일 건국준비위원회 모습을 어느 매체보다도 앞서 취재한 주인공으로 첫 '대한독립만세'를 여기서 힘께 불렀다고 했다. 9월 8일 미군이 진주하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