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5년 광복의 날을 맞은 경성방송국, 그 최후의 날 - 우리말 방송 책임자. 제2보도과장 이혜구선생님 회고담- 1945년 광복의 날을 맞은 경성방송국, 그 최후의 날 끝부문에 일본 히로히도의 항복 동영상과 항복문서 전문을 올렸습니다.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던 날! 경성방송국 최후의 날이기도 했던 그날! 경성방송국의 방송인들은 한국인.. 해방공간의 방송 2011.07.24
문제안 선생님 육성과 영상으로 보는 8.15 해방의 날 문제안 선생님 육성과 영상으로 보는 8.15 해방의 날 일제강점기 기다리고 기다리던 민족의 소원은 1945년 8월 15일 정오 방송을 통해서 일본천왕 히로히토의 목소리로 세상에 전해졌습니다. 그때 방송국에서 일본 히로히도 천황의 항복방송을 하고 또 그때의 상황을 지켜보시던 분은 한분.. 해방공간의 방송 2011.07.24
일제 강점기 독보적인 아나운서 이계원님의 방송인생 일제 강점기 독보적인 아나운서 이계원님의 방송인생 1936년에 경성방송국에 들어와 1968년 VOA에서 과로로 세상을 뜨실대까지 오직 방송만을 위해 일생을 살아오신 분이었습니다. 박충근 아나운서에 이어 1948년 말 방송과장직에서 물러날때까지 중앙방송국의 아나운서를 이끌어 오셨고 19.. 방송인물 2011.01.31
경성방송국 우리말 방송 인맥 경성방송국 우리말 방송 인맥 경성방송국 개국을 전후해서 들어온 방송인들은 방송국을 스스로 떠나고자 하는 분들이 있었고 또 방송 초창기 재정이 극도로 어려움을 겪게 되어 노창성이나 한덕봉등 필수요원만을 제외한 대부분의 방송인이 1930년 전후해서 방송국을 떠났다. 이때는 라.. 일제 강점기 방송 2010.12.31
경성방송국을 창설한 최초의 방송인 노창성님 경성방송국을 창설한 최초의 방송인 노창성님 노창성님은 우리나라에 방송국 설립을 구상하던 1924년 초 부터 방송에 힘을 기울이신 분입니다. 시험방송을 위한 기계를 들여오고 시설을 했으며 시험방송을 했습니다. 님은 한국인 최초로 전파에 그 목소리를 실었습니다. 경성방송국의 개.. 방송인물 2010.03.14
방우회(사단법인 한국방송인 동우회)와 그 인맥 방우회의 출발부터 오늘에 이르기 까지의 얘기를 쓰면서 방우회 창설의 동기를 부여하신 윤길구선생님 얘기와 방우회를 창설하고 이끌어 오신 네분의 얘기를 함께써서 링크했습니다. 영문자 주소를 글릭 하시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라디오 방송 전성시대, 방송의 별 윤길구님 http:.. 방우회·독립운동 2009.12.30
KBS 최장수 중앙방송국장 이운용님 KBS 최장수 중앙방송국장 이운용님 독일유학을 마치고 교단에서 학자로 명성을 날리던 이운용(李沄鎔) 선생님이 KBS중앙방송국장이 된것은 6.25로 부산에 피난갔던 중앙방송국이 서울로 돌아오던 1953년 8월이었습니다. 오랜기간 방송을 이끌어 오던 이혜구선생님이 초대 중앙방송국장.. 방송인물 2009.10.31
일제 강점기 우리말을 지킨 沈友燮방송과장 일제 강점기 우리말을 지킨 沈友燮방송과장 이 글은 2009년 8월호 KBS 사우회보에 실린내용입니다, 원문 다시 보기 일제강점기 조선어를 전담 방송하던 제2방송과는 조선어를 지키는 최후의 보루였다. 공공기관 어디에서도 자유롭지 못하던 조선어를 방송국 제2 방송과 에서만은 자유롭게 .. 방송인물 2009.08.26
방송초기 축구중계방송 에피소드 하나 -이혜구님 글에서- 방송초기 축구중계방송 에피소드 하나 -이혜구님 글에서- 이 혜 구와 김 문 경 이혜구님은 올해로 101세로 생존하는 최고령 방송인입니다. 1932년 방송국에 들어 오셔서 오랫동안 방송제작에 임하셨고 우리말 전담방송인 제 2방송과장, 제2보도과장등을 역임하시다가 해방후 우리나라 방송.. 일제 강점기 방송 2009.04.23
일제 강점기 최후의 일본인 방송인들 일제 강점기 최후의 일본인 방송인들 해방 되던때 조선방송협회에 근무하던 직원은 모두 1,034명이었고 이 가운데 일본인은 281명이었다. 일본인이 숫자는 적었어도 보직이나 주요 직책은 대부분 일본인이 차지하고 있었고 보직을 갖은 우리방송인은 이혜구 제2보도과장과 이정섭 기획과.. 일제 강점기 방송 2009.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