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강점기의 일본 방송인이 말하는 8. 15의 패망의 날! ( 2 ) 일제 강점기의 일본 방송인이 말하는 8. 15의 패망의 날! ( 2 ) 해방을 맞던 날 협회 업무부장, 기술과장, 연희 방송소장은 중요한 위치에 있었습니다. 방송시설과 경영의 핵심에 있었던 이 분들의 얘기는 경성방송국의 마지막 장면을 짐작케하는 얘기일 수도 있습니다. 당시의 방송국장 시.. 해방공간의 방송 2011.07.24
해방을 맞던날 방송국에선, 그때 아나운서들의 회고담 - 송영호, 이덕근, 민재호, 윤길구아나운서- 해방을 맞던날 방송국에선, 그때 아나운서들의 회고담 오늘은 광복의 날 방송국 현장에서 그 상황을 방송을 통해서 직접 국민들에게 알렸거나현장을 지켜 보았던 세분의 아나운서들의 얘기를 올렸습니다. 글을 남기신 송영호 선생님은 1938년.. 해방공간의 방송 2011.07.24
이덕근선생님 회고록, 경성방송국과 해방공간의 방송 이덕근선생님 회고록, 경성방송국과 해방공간의 방송 이덕근 선생님은 1943년에 경성방송국 아나운서로 들어오셔서 보도계장, 편성계장, 연출과장을 하시다가 서울신문 논설위원을 거쳐 서라벌 예술대학, 중앙대학교 교수를 지내 셨습니다. 방우회(한국방송인 동우회) 회원으로 계시다.. 기본 2011.07.21
2차 대전중의 방송 / 전쟁목적 수행을 위한 방송 2차 대전중의 방송 / 전쟁목적 수행을 위한 방송 1937년 중일전쟁이 일어나고 2차 대전이 가까워지면서 방송을 전쟁목적 수행을 위한 도구로 활용 해 가면서 이때까지 그런대로 할기를 띠던 연예오락, 어린이 방송도 차츰 위축되었고 가수나 배우도 전쟁목적 수행에 동원 되기 시작했습니.. 일제 강점기 방송 2011.07.20
KBS 제주방송총국의 2013년 모습과 HD 디지털 방송전환 KBS 제주방송총국의 2013년 모습과 HD 디지털 방송전환 전국에서 최초로 실시된 제주지역 HD디지털 방송 전환 기념식과 KBS 제주방송총국 신청사 기공식이 2011년 6월 29일에 있었습니다. 이날 신청사 기공식에는 김인규 KBS사장, 김동주 제주방송 총국장, 우근민 제주 특별자치도지사, 양성언 .. 지역방송 2011.07.17
아나운서 한길로 살다가신 강찬선 님, 강창선, 강창성, 외교관 강경화 1950년대 라디오방송만 있던 그 시절의 방송편성과 방송실시과정 등을 강찬선 아나운서의 해설로 듣는다. 그 시절의 방송모습과 함께 윤길구, 장기범, 임택근, 김인숙, 윤영중 아나운서, 미국으로 건너가기전 세계적인 인기 보컬그룹 이난영의 딸들로 구성된 김씨스터즈와, 현씨스터즈 등.. 방송인물 2011.07.16
일제 강점기 방송극 (드라마) / 제 2 방송시절 일제 강점기 방송극 (드라마) / 제 2 방송시절 경성방송국에서 1933년 4월 26일 우리말 방송 전담 채널이새로 생기고 방송시간도 대폭 늘어났으며 우리말 방송이 활기를 띠면서 드라마 방송이 시간도 늘어나고 또 새로운 모습으로 태어났습니다. 그때의 방송은 전적으로 청취료로 운영 되던.. 일제 강점기 방송 2011.07.14
장소팔 고춘자 그때 그 목소리와 만담 50년 유튜브에서 보기 https://youtu.be/72xipyAB3Fk 1967년에 방송된 TV프로그램의 한 장면을 동영상으로 편집했습니다. 장소팔 고춘자 그때 그 목소리와 만담 50년 1950년대 60년대에 사시 던 분 들이나 또 그 시대에 사시던 할아버지, 할머니, 아버지, 어머니를 모시고 계시면 그때 재미있었고 인상 깊었.. 기본 2011.07.13
미국의소리 (VOA) 아나운서 황재경 목사 미국의소리 (VOA) 아나운서 황재경 목사 황재경 아나운서! 님은 아나운서이기 전에 교회 목사였고 음악가였으며 사람들을 웃기고 울리는 만담가였습니다. 1950년 6.25가 일어 날 무렵부터 오랜 세월 굵은 톤으로 또박, 또박 특유하게 들려오던 그 목소리는 그 시대를 사시던 분들의 귀에 익.. 방송인물 2011.07.12
경성방송국 양악을 이끌었던 사람들/ 홍난파, 박경호, 김생려 경성방송국 양악을 이끌었던 사람들/ 홍난파, 박경호, 김생려 방송국이 이 땅에서 처음으로 문을 연 것은 1927년 2월 16일이지만 방송국 설립을 위해서 시험방송이 시작된 것은 1924년 12월이었습니다. 그때 총독부와 조선일보가 각각 시험방송을 했고 그 시험방송에서부터 양악이 방송되었.. 방송음악 백년 2011.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