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무쌍했던 1961년의 방송과 그때의 새로운 방송요원들의 얼굴 4.19와 5.16의 격동기를 지나며 방송은 하루가 다르게 달라지던 시절이었다. 1961년 말을 계기로 역사적인 KBS TV방송이 개국되었고 이에 앞서 같은 달 12월 2일 서울에서 최초로 개국한 상업방송 MBC가 문을 열었다. 이해 7월 1일을 기해서 KBS 국제방송국이 문을 열었는가 하면 이 무렵 포항, 여.. 기본 2013.02.24
해방정국의 최대 이슈 신탁통치 소용돌이와 방송 1945년 12월 27일! 모스코바에서 열린 3상회의에서 미, 영, 중, 소 4개국이 우리나라를 신탁통치하기로 했다는 내용이 국내 각신문과 방송을 통해서 전해지면서 해방정국을 강타했습니다. 일본군이 물러나면 해방이 온다는 국민들의 기대에 찬물을 꺼않는 소식이어서 이로부터 신탁통치를 .. 기본 2013.02.23
삼팔선의 봄(3.8선의 봄) 6.25전쟁가요 박춘석 작곡, 최갑석 노래, 노래비 분단의 아픔을 노래로 표현한 삼팔선의 봄 다른 노래에 비해서 비교적 늦게 나온 6.25 전쟁가요다. 초기의 전쟁가요가 유호 박시춘, 반야월 이재호 등이 만들어 낸 노래에 늦은시기에 박춘석이 곡을 작곡한 곡에 최갑석이 노래를 사람들의 심금을 울렸다. 작사 김석민은 가요계에서는 잘 .. 방송음악 백년 2013.02.23
바티칸 박물관전, 르네상스의 천재 화가들, 예술의 전당 생각치 않게 영국의 대영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과 함께 세계 3대 박물관이라고 일컬어 지는 바티칸 박물관 전시장을 찾았다. 몇년전 이곳에서 대영 박물관 전시가 있었던 적이 있었지만 바쁘다는 핑계로 관람치 못했다. 이번 바티칸 박물관전은 작년(2012년) 12월 8일 부터 열려 3.. 우리집 얘기 2013.02.22
바티칸 박물관전, 르네상스의 천재 화가들, 예술의 전당 생각치 않게 영국의 대영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과 함께 세계 3대 박물관이라고 일컬어 지는 바티칸 박물관 전시장을 찾았다. 몇년전 이곳에서 대영 박물관 전시가 있었던 적이 있었지만 바쁘다는 핑계로 관람치 못했다. 이번 바티칸 박물관전은 작년(2012년) 12월 8일 부터 열려 3.. 기본 2013.02.22
한국방송 86년이 되는 날 2013년 2월 16일 경성방송국 JODK 2013년 2월 16일 오늘은 이 땅에서 처음으로 방송을 실시한지 86년이 되는 날입니다. 1920년 세계최초로 미국에서 방송을 실시한지 7년만이었습니다. 1924년 몸부터 준비를 갖추어 그 해 11월 29일 기자들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가한 가운데 시험 전파를 발사하고 12월 9일과 10일 이틀간에 걸쳐.. 기본 2013.02.16
배우 전옥, 항구의 일야 강홍식 강효실 최민수 최무룡 전옥이라면 먼저 “눈물의 여왕”이 떠오른다. 레코드로 또는 무대에서 관객들과 눈물로 만나왔기 때문이지만 또 그의 삶도 눈물로 이어오다가 58세의 짧은 삶을 마쳤다. 1911년 함경도 함흥에서 태어난 전덕례(全德禮)는 오빠 전두옥을 따라 어린시절 서울로 와 토월회에 들어왔다. 토월.. 방송음악 백년 2013.02.14
작사가 조명암과 그의 노래 모음 ◆동방의 태양을 쏘라◆ 22살의 젊은 청년 조명암의 작품이 1934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 부문에서 당선 되면서 혜성같이 나타나 그로부터 주옥같은 가사를 썼다. 박시춘, 손목인, 전수린 등 당대 최고 작곡가들이 그가 쓴 가사에 곡을 붙였고 이난영, 남인수, 이화자, 황금심, 장세정, 송민.. 방송음악 백년 2013.02.12
눈 내리는 날의 탑골공원(파고다) 역사탐방 사적 제 354호 탑골공원은 불타버린 터전위에 다시 복원하는 국보 1호 숭례문에 이어 국보 2호 대원각사 탑이 있는 곳이고 그 대원각사 탑의 기록이 있는 보물 3호 대 원각사비가 있는 곳이다. 역사적인 3.1 독립만세를 제일먼저부른 곳이어서 3.1 운동 기념탑, 3.1 운동 벽화, 의암 손병희 선생의 동상, 한.. 기본 2013.02.06
방송문예 15년사 1945년부터 1959년까지/ 원로 방송작가 최요안님 유고 최요안 선생님은 해방 후 정부수립 될 무렵 KBS전속작가로 출발한 이래 6.252전쟁중 KBS가 부산에 가 있던 때 문예계장을 맡아 방송작품에 심혈을 기울였습니다. 1960년대까지 KBS 작가실에서 작품 활동을 하며 그 시절 방송된 제일 많은 글을 쓴 분으로 알려지고 있습 니다. 이 글은 최요안 선.. 기본 2013.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