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나운서 방송역사 그이름 그 얼굴 KBS 한국방송 방송역사 90년! 아나운서 역사 90년! 1927년 2월 16일 이옥경 아나운서의 목소리가 전파를 타고 세상 사람들에게 전해졌다. 갖가지 화제를 뿌리며 고고의 소리를 (呱呱之聲) 울렸다. 이옥경은 일본인 아나운서 미쓰나가와 함께 개국방송 사회를 보며 정식방송을 내 보냈다. 방송역사의 시작.. 기본 2016.05.20
TBC 동양방송 아나운서 이름(명단) 그때 그 얼굴들 1960년대 태어났다가 1980년 방송통폐합으로 사라진 TBC 동양방송 DBS 동아방송 등 각 방송사 아나운서들 얘기를 여러편의 글로 올려 놓고 계속해서 수정 보완 하고 있는 가운데 TBC 제4기 아나운서로 입사 왕성한 활동들 하며 서무 까지 맡아서 일한 맹관영 아나운서가 17년간의 TBC아나운서 .. 민영방송 2014.12.24
1960년의 방송, 특집 다큐멘터리 최세훈작 연출 "흘러간 목소리" 대본 태평양 건너 멀리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최세훈 아나운서의 딸 최철미님으로 부터 반가운 소식과 함께 이 땅의 방송개시 33년을 맞아 1960년 2월 17일 실시한 특집 다큐멘터리 방송대본 한편을 담은 이메일올 보내오셨다. 방송제목은 「흘러간 목소리」 지난날 방송에서 아나운서들의 흘.. 카테고리 없음 2014.09.07
MBC 문화방송 아나운서 그 이름(명단) 그 얼굴 사진 1961년 12월 2일 아침 6시! MBC 여기는 문화방송입니다! HLKV,.... 최계환 아나운서실장의 목소리로 MBC개국을 알렸다. 부산 mbc에 이어 서울 MBC가 감격의 첫 방송을 내보내던 날이었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 15번지 동일빌딩에 자리 잡은 문화빙송은 이날부터 날마다 13시간씩 상업 광고주가.. 민영방송 2014.07.23
MBC, 문화방송 개국(1960년대) / 서울의 최초 민영 상업방송, 사가 1961년 12월 2일 아침 6시! MBC 여기는 문화 방송 입니다! HLKV, 부산 mbc에 이어 서울 MBC가 감격의 첫 방송을 내보내던 날이었습니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 15번지 동일빌딩에 자리 잡은 문화빙송은 이날부터 날마다 13시간씩 상업 광고주가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방송하면서 “국.. 민영방송 2013.12.21
민병연, 1950년대 한송이 코스모스 같다던 그 여성 아나운서 벌써 반세기가 넘어 60년 가까운 세월이 흘렀습니다. 여성의 사회진출이 적고 아나운서 목소리가 신비롭기만 하던 시절 라디오로 들려 오는 여성아나운서 목소리, 때로는 그 목소리의 아름다움에 끌려 잠 못 이루는 젊은이들이 있던 시절이었습니다. 흔히 호랑이가 담배피우던 시절이라.. 방송인물 2013.10.15
mbc개국 아나운서 이장우, 김영우 원종관, 박진현, 장인숙 「비취빛 푸른 하늘 동이 터 오면 눈앞에 펼쳐지는 오늘의 세계 .....」 1964년 12월 7일 TBC 동양방송 연주실에서 또 하나의 TV방송사의 출범을 알리는 사가와 함께 이장우 아나운서의 개시멘트가 울려 퍼졌다. 「여기는 채널 7로 방송되는 HLCE 동양 텔레비전 방송입니다. 여러분의 방송 동양 .. 방송인물 2013.07.06
강영숙 아나운서 1950년대 그때 그 목소리, 예지원 원장 오랜 세월이 흘렀어도 그때 라디오방송에서 흘러나온 목소리의 추억을 가지신 분들이 많습니다. 1950년대 최고의 스타라고 불렸던 강영숙 아나운서! 방송에서 그 목소리를 들었지만 오래된 일이라 목소리의 구분이 잘 되지 않습니다. 요즈음도 자주 만나는 편이지만 일상적인 말과 방송.. 기본 2013.04.11
이강석 (이승만대통령 양아들)과 남산방송인들 이강석 (이승만대통령 양아들)과 남산방송인들 이강석! 육군사관학교를 다니던 시절부터 그는 절대 권력자였다. 본인은 절대 그것이 아닌 부드럽고 평범한 육군사관생도라고 생각하며 지내려고 했지만 세상 사람들은 그것이 아니었다. 한때 가짜 이강석이 판을 쳤다. 경찰서장 등 지방.. 기본 2012.05.29
족보로 본 KBS 아나운서 방송역사 인명록 KBS 아나운서실에 가면 아나운서실 족보라고 불리는 큰 족자가 걸려있습니다. 1927년 이 나라 방송이 시작되던 때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서울세서 근무하는 아나운서 들의 명단을 순서대로 기록 해 가는 인명록입니다. 지금까지 석장의 족자가 걸려 있습니다. 한장은 1964년까지 서울 아나.. 기본 2012.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