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인물

문학가출신 1930년대 방송인 이하윤 異河潤 님

이장춘 2011. 4. 22. 05:17

 
1934년 연말 특집 방송극을 끝낸 제2방송과 직원들의 모습으로
 이하윤선생님을 미롯해서 그시절 제 2방송과 우리말 방송을 했던 이혜구,
 김문경, 최아지, 이석훈, 박충근, 남정준 님이 같이 하셨습니다.

 

 문학가출신 1930년대 방송인 이하윤 異河潤님 

 

영문학자, 국문학자, 시인, 방송인, 신문사 기자,

대학교수 등 님에게 붙혀진 대명사가 많듯이 여러 방면에

재능을 지니셨고 많은 일들을 하셨습니다. 경성방송국의 우리말

전담 체널인 제2방송 실시를 앞두고 방송국에는 1932년 9월 방송인을

채용할 때 그해 7월에 들어온 윤백남과 비슷한 시기에 경성방송국에

들어 오셨습니다. 이혜구, 남정준, 김문경, 최아지

아나운서도 이 무렵에 들어오셨습니다.

 

 

 

 

교양프로그램을 맡아 방송 하던중

1935년 방송국을 떠나실때 까지 우리말 전담방송

초기에 방송의 기틀을 확립하는데 기여 하셨습니다. 지금 듣고

계시는 노래 동무의 추억은 선생님이 가사를 쓰시고 가튼이

곡을 붙혀 김안라가 부릅니다. 김안라는 잘 아시는

가수 김정구님의 누님입니다.

 

 

 

 

 27세의  젊은 나이로 방송국에 들어 오셨지만 

일본 유학시절부터 문학활동을 전개해서 이름이 알려졌을

때의 일로 님이 방송국에 들어 오기전, 1931년 7월 8일에 구성된

 극예술 연구회 창설 맴버로 방송극과 인연을 맺고 있을 때였습니다.

 이때 구성된 극예술 연구회는 뒤에우리말 방송 책임을 맡게되는 윤백남

선생님을 비롯해서 김진섭님과. 유치진, 홍해성님등 지금도 이름을 대면

아실만한 분들이구성했습니다.  그 뒤 방송작가나 드라마 출연진은 이 극예술

연구회가 주류를 이루어 한국 신극사의 빛나는 한페이지를 장식하게 되었

습니다. 이 극예술 연구회가 처음 방송을 시작한것은 1933년  2월의 일로

 게오르그 카이젤 원작  "우정"을 유치진, 모윤숙, 최창헌, 윤정섭님

등이 출연해서 방송했습니다. 그 유명한 김희창선생님의

 노차부가방송된 것도 이 무렵으로 맥을

 같이 하는 것이었습니다.  

 
 
1933년 4월 26일부터 우리말 전담방송을 

처음 시작 했을때는 주식시세나, 쌀값. 그리고

각 기관이나 단체에서 보내주는 공지사항을 방송하고 

또 설사 다른 뉴스가 있다해도 통신이나 신문, 일본방송에서

 전해지는 소식을 번역해서 방송하던 때라 이런일은 주로 아나운서들이

했고 뉴스는  중요시 하지 않아서 기자는 따로 없었습니다. 제 2방송이

실시 되면서 이혜구님이 주로 연예프로그램을 이하윤님이 교양 프로그램을

 제작했습니다. 박충근, 남정준, 김문경, 최아지 아나운서는 2교대로 방송을

하다가 뒤에 이석훈, 김준호,정문택님등이 들어 왔습니다. 1935년

선생님이 떠난 자리에는 시인이자 소월을 길러낸 김억님이

오셨고 김억님이 계신곳에 1940년 김진섭님이

오셔서 일본에서의 동인이 차레로

방송극에 근무한 샘입니다.

 

 

 

 

선생님은 1906.4.9 강원도 이천에서

출생하셨습니다. 1918년 이천공립보통학교를 거쳐

1년 동안 한문을 공부하고 1923년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를

나왔습니다. 1926년 일본 호세이대학[法政大學] 예과에 입학해 1929년 

법문학부 문학과를 나왔으며, 유학하는 동안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독일어를

두루 공부했습니다. 1929년 경성여자미술학교 교사도 했는데 譚詩와 시작등

일본 유학시절부터 문단에 이름이 알려져있던 터에 1932년 방송국에

들어와  제2방송과에서 방송을 할때는 시인으로 그 명성이 

널리 알려지고 있을 때였습니다.

 
1935년 방송국을 떠나 콜럽비아 레코드사
문예 부장을 거쳐 37년 동아일보사 학예부 기자로 활약했고
1940년 동아일보가 폐간되면서 사실상 은둔생활을 했지만 1945년

해방된 후 동국대학 교수 겸 문과과장에 취임하고, 1949년 서울대학

법과대 교수로 옮겼다가 1952년 서울대학교 사범대 교수가 되었습니다. 

교육계에 계시면서도  많은 시를 써서 전해져 내려오는 시가 많습니다. 

1971년에는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로 재직중 1974년에 세상을 뜨셨

습니다. 후덕함과 호인풍의  인품을 지진 두주불사형이었습니다. 

저서로 시집 물레방아,  실향(失香)의화원(花園)이 있고,

번역 시집으로 불란서 시선집 영국 애란시선
(愛蘭詩選)이 등이 있습니다. 

 

 

 

방송국 시절 회상기 한편을 옮깁니다.
 
 
내가 JODK에 근무한 것은 1932년 9월부터
1935년 8월까지  만 3년간이었다. 내가 소속해 있던
 제 2 방송과는 과장을 중심으로 나와 만당 이혜구가 마주
앉아 있었고 현업으로 박충근씨와 남정준씨가 주야 교대로
首班이 되어 경기여고 출신 최아지 양과 숙명여고 출신
김문경양이 근무했는데 나중에 혜화 전문 출신인
김준호, 소설가 이석훈 씨가 충원되었다.
 
이석훈씨는 평안도 사투리에다가
목청이 우렁차서 가끔 “항아리 속에서 아나운서를
하느냐?” 는 따위의 투서를 받았다.  한번은 연희전문 출신인
정문택씨와 이석훈씨가 서울 운동장 축구 중계를 나갔는데
정씨가 “롱 킥 ! ” 해 놓고 나서는 한참동안 잠잠 하다가
이번에는 “혼전 !” 했으니 생각하고 보면
참 점잖고 유창한 중계이기도 했다.
 
당시의 강연과 강좌의 시간은 30분간,
 어린이 시간은 20분에서 25분간, 강좌는 낮 2시에
강연은 밤 7시에 마련되었는데 지금처럼 녹음이 아니라
 생방송으로 방송 되었으므로 연사가 부득이한 사정이
 있는 때는 그대로 방송이 나가지 않았다.
 
교양시간과 연예시간의 한계가 지나치게
엄격하여서 서로 침범 할 수가 없었다. 그런 가운데서도
권덕규씨의 “조선어 강좌” 장지영씨의 “중국어 강좌” 는  택스트까지

발행하여 매우 인기를 끌었으며 徐椿씨의  “경제 강연” 송금선씨의 “가정강좌”

그밖에  김두헌씨 김호근씨, 최윤식씨등 전문학교 교수들의 강연이며 일요일 

저녁마다 종교계인사들의 이른바 “修養講演” 그리고 어린이 시간 동화,

동요, 아동극은 청취자들에게 많이 유익했을

 것이라고 굳게 믿는다.

 

 

 

 

 

이하윤 선생님 약력

 

1906년 4월 9일 강원도 이천 출생

1923년 경성 제일고보 수료
1926년 시대일보에 시 「잃어버린 무덤」 발표,
          정인섭·김진섭 등과 해외 문학 연구회를 만들어 동인으로 활동
1929년 토오쿄오 호오세이대학 법문학부 문학과 졸업,
         경성여자미술학교 교원,
1930년 중외일보사(中外日報社) 학예부 기자, [시문학]지의 동인
1931년 김진섭, 서항석, 유치진 등과 함께 극예술 연구회를 만들어 활동
1932년 경성방송국 근무

1935년 콜럽비아 래코드 문예부장
1937년 동아일보사 학예부 기자

1940녀 동아일보 폐간후 은둔생활
1945년 동국대학 교수 겸 문과과장에 취임 및,
1945년 동국대학 교수, 중앙문화협회 상무위원
1949년 서울대학 법과대 교수
1952년 서울대학 사범대 교수
1954년 전국문화단체총연합회 최고 위원
1959년 비교문학회장에 선임, 방송용어 심의위원장
1970년 국민훈장 동백장 수상.
1971년 서울대학 명예교수, 덕성여대 교수 겸 교양학부장
         성공회신학원(성공회신학대학 전신) 이사를 역임
1974년 3월 12일 사망

 

 


 

 

이하윤 선선생님이 남기신 
예민한 후각과 방송이라는 방송예기
한편 더 올려 드리겠습니다
 
  
한때 JODK아나운서들에게는
예민한 후각의 소유자가 아니어서는 안된다는
기상 천외한 임무가 부과된일이 있었다.
 
그 사실인증 다음과 같다.
 
신정언씨는 야담가로 유명 하였지만
언론계의 중진으로 처음엔 상식강좌의 방송에

등장 하였다가 그 화술과 음성이 하도 뛰어나서

 

 

윤백남, 김정진 양씨의 권유를 받아들여
야담으로 전환한 분이다.
 
당시의 야담게는 윤백남씨의 독무대라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였는데 일본에서 귀국한 유추강씨가
역시 의학강좌의 단골연사이던 정구충씨의 소개로
방송국에 등장 점차로 명성을
올리기  시작했다.
 
그런데 어느날 밤 유씨가 술에 만취되어
무슨 얘기인지 횡설 수설 한 뒤로부터 술냄세와
스튜디오의 절연이라는 구호아래 그와같은
기상 천외한 임무가 주어졌던 것이다.
 
 
이하윤님이 쓰신 시 
들국화 한편 올려 드립니다.
 
 
나는 들에 핀 국화를 사랑합니다.
빛과 향기 어느 것이 못하지 않으나
넓은 들에 가엾게 피고 지는 꽃일래
나는 그 꽃을 무한히 사랑합니다.
 
나는 이 땅의 시인을 사랑합니다.
외로우나 마음대로 피고 지는 꽃처럼
빛과 향기 조금도 거짓 없길래 나는
그들이 읊은 시를 사랑합니다.
 
 

 

 

방우회 이사 이장춘 춘하추동방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