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5. 16 새벽 첫 방송 박종세 아나운서

이장춘 2011. 5. 16. 03:48




박종세 아나운서의 5.16 첫방송! 그날
사의 갈림길에서 남산방송국에서 있었던 그때
그 상황! 현장에서 방송을 직접 수행했던 박종세 아나운서의
 "방송, 야구  그리고  나의 삶"이란 회고록이 2004년 책으로 나오고
 곧이어 춘하추동방송에 글이 올랐을때 수많은 네티즌들의 관심이
증폭되여
춘하추동방송을 찾아 주셨고 수많은 포탈 사이트
카페나 블로그에
옮겨져서 함께 읽으셨습니다.

그때까지 5.16세벽에 있었던
잘못된 기록이 바로 잡아지면서 박종세
아나운서의
글은 역사적 진실로 자리메김 했습니다.  
그동안 춘하추동방송은
박종세아나운서와 함께 하면서
박종세아나운서와 관련된 수많은 글을 추가로
올렸고
생생한 역사적인 열상물들을 함께 올려 계속
관심이증폭되어
 왔습니다.  

그동안에 없었던 기록사진들을
새로 넣어 글을
보완하고 그동안 써 올렸던
박종세 아나운서 글을
 모두 모아 여기서
보실 수 있도록 했습니다.
 


2015년 7월 29일 


 

 

박종세아나운서는 1956년 KBS에
 들어 오셨습니다. 1961년 5월 16일 새벽 5.16
첫방송의 주인공으로 널리 알려 지셨고 그 때 상황이
부분적으로 전해 오기는 했지만,  회고록 "방송, 야구  
그리고
 나의 삶"을  펴내시면서 상세한
내용이 소개 되었습니다.  

박종세
아나운서는 경복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를 졸업,  KBS
중앙방송국 
아나운서 재직중 동아방송을 거쳐  1964년
TBC개국때
옮겨 TBC 동양방송 아나운서실장과
국장급  방송주간을 지냈습니다.

 1980년 송 통폐합때  KBS 
국장급  방송주간으로 옮겼다가 퇴직후에는  

해태타이거즈 프로야구팀을 창단 대한민국 최고의 
팀으로 키웠고
코래드 대표이사, 아시아컴 회장등을 거쳐 
 한국 아나운서 크럽 회장을 지내셨습니다,  지금은 서울여상
이사장과 방우회(한국방송인동우회)부회장 한국아나운서클럽
고문
재직중입니다.   1972년 5.16민족상,  2,000년 7월 13일
대한
체육회 창립 80주년을 맞아  스포츠 중계방송
공로로 공로패를 받았습니다
 

 



 5. 16 새벽 첫 방송 박종세 아나운서   




1961년 5월15일 오후, 나는
야구 중계방송으로 지친 몸을 이끌고
 宿直(숙직)을 하기 위해 남산 KBS 방송국으로
출근했다. 초여름에 접어드는 따가운 햇볕 아래서
몇 시간 동안 악을 쓰면서중계방송을 했던 터라
온몸이 축 늘어지고, 거기다가 입술까지
 터져서 기분이 아주 좋지 않았다.
 
 나는길 아래쪽에 있는 약국에서
약을 사먹고 아나운서실로 들어왔다. 나와
같은 팀인 송영규 아나운서와  저녁, 밤 방송을 마치고
새벽 1시를  넘어선  시간에   나는 숙직실로 올라갔다. 
몹시
지쳐 있던 나는 몇 번을 뒤척이다가 곧 잠에 떨어졌다.  
얼마를 잤을까,
우리는 숙직실로  올라 온 수위 아저씨가
소리를 질러대는 바람에 자리에서 일어나야 했다.
시계를 보니 새벽 4시였다. 주섬주섬 옷을

걸치고 1층 현관으로 나갔더니
憲兵(헌병)들이 들어와
있었고, 그중
책임자인 듯한大尉(대위)가 숙직
책임자를
찾는 것이었다.  그날 밤 숙직자 중에는 나이가 많은
도상보
음악 PD가 있었지만 방송국 직급
으로는 내가 책임자인 셈이었다.




연설을 하는 군복차림의 박정희 의장과 중계방송을 한 박종세
 아나운서 정희의장 뒤에 박종규실장이 보인다.


헌병 대위는 앞으로 나선 나에게
『지금 정체 불명의 군인들이 김포 방면에서  
서울을 향해 진격하고 있습니다. 북괴군 같기도 하고 반란군
같기도 한데 그들이 일단  서울에 들어오면 먼저 KBS를 접수하고자
할 것입니다. 우리 헌병부대가 지키러 왔으니까 별일은 없겠지만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주기 바랍니다』라는 요지의 말을  건넨  방송국 곳곳에 헌병을 배치하는
것이었다.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파악이 안됐지만 상황이 긴박하다는 것은 알 수
있었다.    우리는 서로의  얼굴을 보며 걱정에 휩싸였다.     그렇게 웅성거리며 10분쯤
 지났을까, 방송국에 배치되었던 헌병들이 허둥지둥 트럭에 올라타더니 明洞(명동)쪽을
 향해 도망치듯 내달리는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헌병들이  사라지고 채 5분도
안 지났는데또다른 軍 트럭들이 남산 쪽에서 방송국 앞으로 들이닥치
더니 얼룩무늬 군복을 입은군인들이 쏟아져 내렸다.
  
그들은 단숨에 방송국 담을 뛰어넘으면서
 일제히 총을 쏘아댔고, 우리는 그 자리에 주저앉을
정도로 겁에 질렸다.  도상보 PD와 함께 도주 군인들의
銃口(총구)가 하늘을 향하고 있다는 것을 나중에 알았지만,
삼태기 모양의  KBS 南山演奏所(남산연주소) 앞은 군인들의
난입과 어지러운 총소리, 총구에서 뿜어져 나오는
 불빛으로 한순간에 아수라장이 되고 말았다.
 
그 새벽에 우리는 귀를 찢는 銃聲(총성) 속에서
금방이라도 온몸이 벌집이 되는 것 같은 공포감으로
꼼짝도 하지 못하고 현관 앞 큰 유리문 앞에 몰려 있었다.그때
도상보 PD가 자기를 따르라면서 뛰기 시작했다. 도상보 PD는  우리들 중
나이가 가장 많았고, 6·25 때 수색중대장으로 복무를 했다고 해서 「도 대위」
 라는 별명을 가진 분이었다. 우리는 그를 따라 1층 아나운서실을 지나,
한 번 꺾인 벽으로 막혀 있는 報道室(보도실)로 뛰어들어 갔다.
보도실로 우르르
 밀려든 우리는 다시 방 한쪽 구석에 칸을
막아
만든 텔레타이프
(Teletype)실 문을 열고
그 안으로
숨어들었다.
순식간에
일어난 일이었다.
 
그런데 앞장을 섰던 도상보 PD는 거기도
안심이 안 되는지 잠시 바깥 동정을 살핀 후 우리에게
『기다리라』는 말을 남기고 창문을 훌쩍 뛰어넘었다.   순간
창 밖에서 『손들어!』하는 고함소리가들리더니  이내 조용해졌다.
우리는 다시 극도의 공포에 휩싸여 텔레타이프 뒤의 그 좁은공간으로
들어가
웅크리고 앉았다. 언뜻 6·25 전쟁 당시 拉致(납치)당한 윤용노,
전인국 등 선배 아나운서들의 이름이 떠올랐다. 생각이 거기에 미치자 나는
아나운서라는 흔적을
없애기  위해 부랴부랴 신분증, 출입증, 방송메모 등이
들어 있는
 양복 상의를 벗어
둘둘 말아서 창문 밖으로 던져 버렸다.
그때 누군가가 텔레타이프실 문을 두드렸다.

우리는 숨을 죽이고 바짝 엎드렸다.
그 사람은 반응이 없자
문을 몇 번 흔들어 잠긴 것을
확인하더니,
『거기 朴鍾世 아나운서 있습니까?』하고 나를

찾았다. 순간 나는 어떤 안도감을 느꼈다. 「거기 朴鍾世 있어?
 나와!」 했으면 나는 아마 자지러졌을 것이다. 그런데
나를 찾는 목소리는 危害感(위해감)이 느껴지지
않았고, 정중하기까지 했던 것이다.
 
아무리 비상 상황이라 해도 말을
전문으로 하는 아나운서가 그것을 구별하지
못할 리가 없었다. 나는 텔레타이프 뒤에서 나와 문을
 열었다.  문 밖에는 공수부대 복장의 소령 한 사람과 대위
두 사람이 서 있었는데, 소령은 나를 알아보는 눈치였다.
그는 『같이 가시지요』 하면서 앞장을 섰는데, 나는 
괜히 졸아들어서 우물거리고 서 있었다. 그때
대위
두 사람이     「앞으로 따라가라」 
턱짓을 하며 기관단총으로 내 등을
쿡쿡 찔렀다.
 
 
   朴正熙장군과 조우

  나는 그들과 함께 보도실을 나와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 앞에서 軍帽(군모)의
별 두 개가 유난히 선명한 軍 將星(장성) 앞에 세워졌다.
그 장성은 대뜸  『朴鍾世  아나운서입니까? 
나  朴正熙라고  하오』 하면서  악수를 청했다.

나는 잠시 朴正熙 장군의 손을
잡았다 놓았다.
『朴장군이 직접 방송 하시죠』
朴장군은 차분한 목소리로   『지금 나라가 너무나 어지럽소.
학생들이 판문점에
가서  북한 학생들과 만나겠다고 하지를 않나,
국회는 매일같이 싸움질만 하고,
 이 나라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 
아무도
 알 수 없는 상태가 되고 말았소.
래서 累卵(누란)의
위기에 처한 나라를 구하기
위해      우리 軍이 일어섰소.
오전 5시 정각에 이것을 방송해 줘야겠소』하면서
 傳單
(전단) 한 장을 내미는 것이었다.
 
나는 전단을 받아 재빨리 훑어보았다.  
그것은 「친애하는 동포 여러분! 은인자중하던
군부는 드디어 오늘 아침 미명을 기해서…」앞부분이
시작되는 革命公約(혁명공약)이었다. 혁명공약은 「대한민국
 만세! 궐기군 만세!」마무리돼 있었다.     북한군이나,
여순(14연대)반란사건 같은 정체불명의 군부대가
아니라는 것이 확인되면서 나는 일단
 가슴을 쓸어내렸다.
 


박정희 대통령과 악수하는 박종세 아나운서


 
혁명공약이 적힌 인쇄물을 내게 건넨
뒤로도 朴正熙 장군은, 軍이 일어나지 않을 수 없는
사정을 몇마디 더 보태면서 나를 설득했는데, 그런 그의 모습은
 진지했고, 말에는 條理(조리)가 있었다. 그런 긴박함 속에서도, 위험에
처해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사였을까, 朴正熙라는 「朴」字가 그렇게 반가울 수가 
없었다. 나는 종씨시군요」하는 말을 목구멍에서 억지로 참았다.그러다 보니 떨리는
가슴도 어느 정도 진정이 되고 작은 여유도 생겼다. 나는 용기를 내, 『朴장군님이
직접 방송하시고 제가 소개 멘트를 해 드리면 안 될까요?』라고 말했다. 그러자
朴장군은 『朴아나운서가 하시오!』라고 했다. 그 목소리가 너무도
 단호했던 것이 지금도 기억에 생생하다. 사라진 엔지니어를
 찾아라 곧이어 내가 십년 감수하는 일이 일어났다.
 
그때 시각이 오전 4시 40분으로,
오전 5시까지는  단 20분밖에 남아 있지
않았는데 아무리 둘러봐도  엔지니어가 보이지
않았던 것이다. 나는 옆에 서 있던 李錫濟(이석제) 중령
(뒤에 총무처 장관·감사원장)에게 『저 혼자서 방송을  할 수
없습니다』라며 엔지니어를 찾아야 한다고 했다. 그때부터 방송국
건물에는 초비상이 걸렸다.  방송국에 들어와  있던 혁명군들은
"엔지니어를 찾으라"는  긴급명령이 떨어지자 건물의
구석구석, 하다못해 공개방송실  의자
밑까지 뒤지며 난리를 피웠다.
 
그러나 엔지니어는 방송국內의 어디에도 없었다.
그날의 담당 엔지니어인 한영식씨와 임시현씨는 우리가
아래층에서 혁명군의 亂入(난입)으로 떨고 있을 때,  2층의
主조정실에서 이 광경을 내려다보고 있다가 방송국 뒷담을 넘어
명동 쪽으로 피신했던 것이다.   방송시간은 점점 다가오는데
기술담당
직원을 찾을 수 없게 되자 군인들은 점점 거칠어지기
시작했다.
그중에서도
큰 키에 우락부락한 용모를 가진 중령
한 사람이
『아나운서가 하면 다 되는 것
 아냐?
5시에 방송 안 나가면 당신 죽을 줄 알아!』

하면서
「철커덕」 권총을
장전해 내 옆구리를 쿡쿡 찔렀다.  나는
나중에야 그가 玉昌鎬(옥창호) 중령인
 것을 알았다.
그는 그 큰 군홧발로 복도를 쾅쾅 울리며 윽박질렀고, 나는
현기증이 일어서 쓰러질 것만 같았다.         그 현장을 옆에서
지켜보았던
동창 金基柱(김기주) 기자       (MBC 전무 역임)는 
훗날, 그때
내 얼굴이 백지장처럼 창백해지는  것을 보고 
자기
까지 조마조마 했었노라고 말하기도 했다.
 
오전 5시 5분 전, 시간이 그야말로 5분밖에
남지 않은 그 절박한 순간에 갑자기 아래층에서 떠들썩한
소리가 났다. 엔지니어가 돌아온 것이다. 헐레벌떡 2층으로 뛰어
올라오는 두 엔지니어를 보는 순간, 나는 「구세주를 만난 기분」이었다.
 내 얼굴에 핏기가 다시 올라오는 것을 스스로도느낄 수가         있었다.  
나는  두 사람의
손을 맞잡고「방송 상태」를 만들어 달라고 부탁했다. 
그들은 지체 없이 메인 키를
올렸고, 남산연주소와 延禧送信所
(연희송신소)까지
방송되는 打令(타령)이 남산연주소

 전체에 울려 퍼지기 시작했다.

훗날 5·16 첫 방송 이야기를 쓴
혁명 주체 한 사람이,
 이 타령이 울려 퍼진 
상황을 묘사하면서    「朴鍾世를 잡아 와
방송을 시켰더니

 덜덜 떨면서 애국가를 틀어야 할 순간에 민요를 틀었다」고
 써서 쓴웃음을 지은 일이 있다.
 
  
7호 스튜디오



  그 무렵에는작은 스튜디오에서 아나운서 혼자
 器機(기기)를 조작하면서 뉴스와 음악 등을 방송했는데,
그날 5·16 혁명을 알리는  첫 방송은 7호 스튜디오로 불리는
작은 방송실에서, 내가 뉴스를 진행하는 메인 마이크 앞에
앉고 송영규 아나운서가 보조 자리에서 턴 테이블에
행진곡을 걸어놓고 기계조작을 해주었다.
 
내 앞에는 朴正熙 장군이 꼿꼿이 서서 방송 장면을
 바라보고 있었다. 그 뒤로는 金東河(김동하·前 마사회장) 장군,
 李周一(이주일·육군 대장·감사원장 역임) 장군과 함께 金鍾泌(김종필),
李錫濟 중령이 서 있었다. 정문순 중령, 이형주 중령은 내 뒤의 작은 의자에
앉아 권총을 빼든 채 나를 감시했다. 타령에 이어 방송이 시작되어  애국가가
 나가고, 그리고 5시 正刻(정각) 행진곡과 함께 5·16 혁명 방송이 시작됐다. 나는
『…은인자중하던 군부는 드디어 오늘 아침 미명을 기해서… 대한민국 만세!
궐기군 만세! 군사혁명위원회 의장 육군 중장 張都暎』으로 끝나는
  혁명공약 방송을 같은 자리에서 여러 차례 반복했다. 일단 성공
적으로 첫 방송을 내보낸 뒤, 나는 李錫濟 중령과 의논해
혁명공약 방송 사이사이에 다른 프로그램을
 넣어 가면서 방송을 계속했다.
 
 
청취자를 안심시키려 菜根潭을 방송 
 
李중령이 『청취자들을 너무 놀라게
하는 것은 좋지 않겠다』해서 菜根譚(채근담)
등으로 엮은 「마음의 샘터」라는10분짜리 프로그램을 
 그 긴박함 속에서도  천연덕스럽게 방송했다. 오전 7시에는 
「미국의 소리(VOA)」 방송도그대로 받아서 내보냈다. 그때
「미국의 소리」에 가 있던 장기범 선배의 방송에서 혁명을
부정적으로 말하는 대목이 나오자 즉각 중단했다.
 
 사복에 카빈 총을 들고 지휘하던 金鍾泌 당시
金鍾泌 중령의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흰 와이셔츠에
넥타이를 매지 않은 검정 양복 차림이었는데, 한쪽 머리칼이
축 처져 내려온 데다가 손에 카빈총을 들고 군인들을 지휘하는
모습이
마치 영화에서 본 프랑스 레지스탕스 지도자 같았다. 누군가가
金중령이
서울大 사대를 다녔다는 귀띔을 해주어서 친근감이 느껴지던 참인데,
마침
그가 내게로 다가왔다. 오전 4시 40분경이었다. 나는 그에게 『지금
이곳 남산 KBS 방송국만  접수했다고 다 되는 것이 아니다.
이곳은 연주소이고 방송이 발사되는 곳은
「延禧送信所」라는 곳이다.
 
그곳에서 자키(콘센트) 하나를 빼든가 스위치를
 내리면 방송은 되지 않는다. 그곳을 빨리 챙겨야 한다』는
 요지의 말을 전했다.  金중령은 『그런 절차가 있느냐』며 깜짝
놀랐고, 서둘러 송신소로 군인들을 보내느라 한바탕 소동이 벌어졌다.
 그런데 延禧洞(연희동)에 있는 송신소로 향한 군인들이 阿峴洞(아현동)
언덕을 넘어 신촌역 부근을 지날 때 5·16 첫 방송은 전파를 탔다. 연희송신소에
군인들이
도착하지 않았는데도 혁명방송이 탈 없이 나간 것이다. 그날 연희송신소 담당
엔지니어는
 서울大 동문으로 나와 인연이 많은 鄭溶文(정용문·前 한솔PCS 사장)씨였다.
그는 새벽에
방송 스위치를 올리고 나서 잠시 혼란에 빠졌다고 한다. 방송이 나오는데
이상했던
것이었다. 난데없이 행진곡이 울려 퍼지고 「친애하는 동포 여러분」으로
시작되는 방송이 나오자, 그는 뭔가  잘못 되었다는 판단이 들어
남산연주소로 연락을 해볼 생각을 했다고 한다.
 
그런데 다시 들어보니 방송 아나운서는
전날부터 같이  숙직을 하는 「朴鍾世」가 분명하지
 않은가. 다른 사람도 아닌  朴鍾世가 방송을 하는데, 스위치를
내릴 수도 없어서 그대로 놔두었다는 것이다. 만약 생판 모르는
 목소리가 흘러 나왔다면 방송은 중단되고 말았을지도 모른다. 
나는 지금도 가끔 鄭사장을 만나 식사를 하면서 그때
이야기를 나누며 웃는다.

 혁명군은 방송국 접수 계획을 세우면서 
처음에는
혁명공약을 방송할 아나운서를
외부에서
데리고 갈 생각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그 일로 여러 의견이  오간
끝에 청취하는  국민들이 놀라지 않도록 當直(당직) 아나운서를
통해 자연스럽게 방송을 하자는 쪽이 우세해 결국
 내가  마이크를 잡게 된 것이다.
 
결과적으로 방송국 당직을 택한 지혜가
혁명방송의  성공을 가져온 셈이 됐다. 엔지니어들,
달아나서 파출소에 신고 그 당시 나는, 나에게 식은땀을
줄줄 흐르게 했던 한영식, 임시현 두 엔지니어가 어떻게
극적으로 방송국에 나타나게 됐는지 궁금했다.
   
 
 
 
편집자주 : 남산방송국 옥상에서 5.16 당직 엔지니어
임시현과 함께 촬영한 사진이다. 앞줄 우측 박종세 아나운서


 
 나중에 들은 얘기지만 두 사람은 2층
主조정실에서  군인들이 들이닥치는 것을 보고
 바로 뒷담을 넘어 중구 筆洞(필동) 쪽으로 해서 명동까지
 내달려 파출소에신고를 했다고 한다. 그러나 경찰관들은 「지금
KBS에 군인들이 쳐들어  와 총을 쏘아대고 있다」고 아무리 설명을 해도
『무슨 소릴 하느냐』며 도무지 믿어 주지 않았다는 것이다. 두 사람은 방송시간이
다가오자 책임질 일이 생길 것 같아  조심조심 방송국 쪽으로 발길을 옮기다가
 지금의 적십자사  근방에서 자신들을 찾는 군인들을 만나  한걸음에
방송국까지 오게 됐다고 한다. 나는 지금도 그때 두 사람이
겁에 질려 끝까지 나타나지 않았다면 혁명방송은
 어떻게 되었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혁명방송을 모두 끝낸 뒤, 신분증을 넣어서
텔레타이프실 밖으로 내던진 양복 생각이 나서 가보았다.
하필이면 양복은 텔레타이프용 기름통에 빠져 있었다. 다행히
 신분증은 건질 수 있었지만 양복은 세탁을 해도 기름이 빠지지 않을 것
같아 그냥 버리고 말았다.   그런데 어떻게 그 얘기를 들었는지 방송을 담당했던
李錫濟 중령이 나중에 양복을 몇 벌 보내 주었고,소문이 퍼지자 훗날 유신고속 사장을
지낸 朴昌源(박창원) 장군도 양복 몇 벌을 보내 주었다.『해외로 도피할 선박도 인천
 앞바다에 준비』 라일락 꽃 향기가 몹시도 진하던 5월의 새벽에 나는 잠시 역사의
 한복판에 있었다. 국  가와 민족의 命運이 걸린 군사혁명이 바로 나의
입을 통해 전파를 타고 공식적으로 국내외에 선포되었으니,

나는 어쩔 수 없이「역사의현장」에
있었던
 것이다. 남산연주소 2층에 있던 제7방송실은 그후

5·16 첫 방송 기념관이 되었다. 밑줄을 그은 原稿(원고)가 사진틀에
넣어져 벽에 걸리고, 그때 사용한 마이크와 당시 朴正熙
장군을 중심으로  한 사진도 전시되어 있었다.
 
그러나 언제부터인가 그것들은 슬그머니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혁명공약이 인쇄된 전단을
받아들고 두려움 속에서도 失笑(실소)를 금하지 못했던 일이
 생각난다.  그 전단의 앞면에는 혁명공약이 인쇄돼 있었고, 뒷면에는
 소설이 인쇄돼 있었다.  5·16 전야에 종로구  안국동 光明印刷所
(광명인쇄소)에서 비밀리에 혁명공약을 인쇄하면서 사장
李學洙(이학수)씨의  지시로 한 면은 소설을 인쇄해
그 면을 위로 가게  쌓아놓았었다 한다.
 
소설을 인쇄하는 것처럼 속임수를 썼던 것이다.
 오전 9시까지 방송을 계속하고 있는데, 강찬선씨가 가장
먼저 출근해서 교대를 해주어 나는 집으로 향할 수 있었다.
그 시각은 野戰軍 사령관인 李翰林(이한림) 장군과 美 8군 사령관
매그루더의 움직임이 혁명군들을 긴장시키고 있었다. 한쪽에서는
절망의
소리까지 돌고 있을 때여서 퇴근하는 발걸음은 무거웠다.
방송국 현관을
나올 때 군인 몇 사람이 격려의 말을 했는데
그중의 한 장교가
걱정스러워하는 내 얼굴을 보더니,

『지금 인천 앞바다에 
 여차하면 혁명군을 싣고
해외로 도피할 선박이
 준비돼 있으니  朴아나운서도 
함께 떠나자』고, 묻지도
않는 말을 하는 것이었다. 
그는
『朴아나운서의 집이 樓下洞(누하동)이라는
 것도 안다』면서
 『유사시에
사람을 보낼 테니 집에 가서푹 쉬고 있으라』고 했다.
그 말을 듣고 나니
나는 안심이 되는 것이 아니라 「일이
잘못될 수도 있구나」 하는
생각으로 걱정만 커졌다.
책상 밑에 숨은 朴鍾世를 발길로
차 끌어냈다?
나는 이렇게 5·16 첫 방송을 했다.
 
 
청와대 초청받은 박종세님 부부 입니다.
 
 
훗날 수많은 사람들이 5·16에 관한 회고를 하면서
 첫 방송 장면을 衆口難防(중구난방)으로 해대는 바람에  
그런
글을 대할 때마다 나는 혼자 쓴웃음을 짓곤 했다. 혁명주체들이 쓴
글에는 5·16 아침 방송국에서 저마다 나를 자기가 잡아내 방송을 시켰다는
 내용이 많았다. 심지어는 책상 밑에 숨어 있는 것을 발길로 차서 끌어 냈다고 
쓴 사람도 있었다. 「朴鍾世 아나운서가 너무 놀란 나머지 애국가를  틀어야 할 것을
우리 민요타령을 틀었다」는,  방송 「메커니즘」을 모르는 얘기는 차라리 애교라도
 있었다.   그중에 시인 朴木月(박목월) 선생이 쓴 「陸英修 여사」라는 책도
 나를 곤혹스럽게 했다. 저자가 원고를 보여 주며 고쳐 달라는 부탁을
해 왔기에, 첫 방송 장면을 사실대로  바로잡아 주었다.
 
그런데 訂正(정정) 부분은 싹 무시하고
 이전 원고대로  잘못된 묘사를 그대로 살려 책을
발간한 것이다.  발간된 책에는 첫 방송이 예정시간인
오전 5시 정각에서 10분 정도 늦게 방송됐다는 엉터리 내용을
담고 있다.  만일 몇 초만 방송이 늦었어도 혁명이 실패한 것이
혁명군 내부에 큰 혼란이 일었을 것이고, 총을 들고 설쳐대는 살벌한
 혁명군이 내 목숨을 그대로 놔두었을 리가  없는데, 상식적으로도
 맞지 않는  내용이 책으로 나온 것이 몹시 섭섭했다.
 
金炯旭(김형욱) 前 중앙정보부장의 회고록도
 혁명 첫 방송을 언급하고 있는데, 나와 朴正熙 장군이
나눈 대화가 뒤바뀌어 있는 것을 빼고는 비교적 정확했다.
朝鮮日報에 실린 趙甲濟(조갑제)씨의 「내 무덤에 침을 뱉어라」
에도 5·16 첫 방송 부분이  꽤 많이 언급돼 있는데 당사자인 나도
놀랄 정도로 묘사가 정확했다. 그 기사를 읽으면서, 그때까지 안
 나왔던 텔레타이프실얘기라든가 朴正熙 장군이 나를 설득하던
 대화장면 등이 비교적 상세하게 기술돼 있어서 취재경위도
 물을 겸  趙甲濟씨에게 전화를 했었는데, 부재중
이어서 崔埈明(최준명) 국장과만 통화를
했던 기억이 난다.
 


  

그때 나 때문에 혼났지?』
 1972년, 金鍾泌 총재 등의  추천으로  5·16 민족상을
 받게 된   내가 內子(내자)와 함께 청와대를 방문했을 때의
일이다.  전에도 몇 번 청와대에 초청을 받아 밥을 먹을 기회가  
있었는데, 그때는 별 말씀이 없던 朴正熙 대통령이, 그날은 많은 사람들
앞에서 큰 소리로 『朴鍾世씨, 그날 아침에 나 때문에 혼났지?』라고 하는
 것이 아닌가.  그래서 나도 『왜 총을 쏘고 들어 오셔서 모두를 놀라게 하셨
니까? 조용히 들어오셨으면 우리가 만세를 부르면서 나가서 맞이했을 텐데요』
라고 농담 비슷하게 말했다. 朴대통령은 『너무 급해서 그랬어! 혁명군이  한강
인도교까지는 별 일 없이 왔는데 한강에서 대항하는 군인들이 있어서 지체한
 데다 KBS 남산방송국을 군인들이 지키고 있다는 첩보가 있어 돌격명령을
 내린 거야.   그렇지만 위협사격이었지, 銃口(총구)는 모두 하늘을
향했으니까.  아무튼 미안했어!』하면서 크게 웃는 것이었다.
모두들 따라 웃었지만 나는 평생에 지워지지 않을
충격이었던 그날의 새벽을 떠올리며
마냥 웃을 수만은 없었다. 





 
 박종세 아나운서의 1980년 
11월 30일 TBC 고별방송  공개방송 동영상을
올렸습니다.
동영상을 보실 분은
 위의
음향을
먼저 꺼 주셔요.
 














관련 글 보기 영문자 클릭
 
박종세 아나운서, 사진으로 본 방송역사의 현장
http://blog.daum.net/jc21th/17782499

박종세 아나운서와 야구, 한국야구 반세기 생생한 현장기록 
http://blog.daum.net/jc21th/17781157
 
5.16 새벽 첫 방송 그로부터 반세기에 올리는 그때 그 아나운서 박종세님의 글
http://blog.daum.net/jc21th/17781982
 
 TBC 동양방송 아나운서 이름(명단) 그때 그 얼굴들
http://blog.daum.net/jc21th/17782344 
임택근, 전영우, 이광재, 박종세, 1960년대 방송 4사 대표 아나운서
http://blog.daum.net/jc21th/17781011
 
박근혜 대통령, 박정희 대통령의 최초로 공개하는 1960년 70년대 사진들
http://blog.daum.net/jc21th/17781610
   동영상, 아씨 출연진 253회 최종회에서의 특집좌담 그때 그 방송 사회 박종세
http://blog.daum.net/jc21th/17781802
1960년대의 KBS라디오 께임 사회 박종세 PD 이상익
Http://blog.daum.net/jc21th/17780188

5. 16 새벽 첫 방송 박종세 아나운서
http://blog.daum.net/jc21th/17780461








 
박종세 아나운서가 5.16 첫방송을 한 7호
 스튜디오다.  2015년 5월 27일 발간된 김종필 전 국무총리
 (JP)의 일대기를 그린 '불꽃'의 표지에 나와 화제가 된 사진이다. 
5.16 방송을  박종세 아나운서는 역사의 주인공으로 세상 사람
들의 관심을 았고  역사의 현장을 전하는 중계방송에 
목소리를 실었으며 1972년  5.16민족상을 받았다.







 
남산방송국으로 옮기던 첫해 연말특집
아나운서
 언 파레이드를 마치고 촬영한 사진이다.
박종세 아나운서를 비롯해서 장기범,  민병연, 강영숙 ,
황우겸, 김인숙, 최세훈,
 송석두, 윤영중, 이현숙, 장금자, 송영필,  
박종세,
이광재, 임택근, 강찬선,
동순, 문복순, 강익수, 최계환님등
그 시절의 아나운서들이
 모두 함께 했고 박종세, 이광재, 임동순
아나운서는
1956년  KBS아나운서 입사 동기였다.  




 1962년 9월 10일 KBS 중앙방송국  아나운서들이
 함께 한 사진이다. 동아방송과 동양방송이 발족하기 전이어서
 뒷날 민영방송 아나운서 책임자가 된 박종세임택근, 최세훈, 김인권
아나운서 등을 볼 수 있는사진이다. 전영우아나운서등 몇분은 그 기간중
 군 복무 등 사정이 있어 참여하지 못했다. 아래 같은 사진 번호따라
1 배덕환,
 2 박종세, 3 이광재, 4 장기범, 5 강찬선, 6 임택근,
7 최세훈, 8 한경희,
 9 최두헌,  10 홍종선, 11 김주환,

12. 이규영,
 13 .길종휘, 14. 유영옥,

15 이정희 16 최승일, 17 김인권, 18 박노설
19 최정현, 20 인주희,
 21 이규항; 22 송영규; 
23 이병열.
 24 송한규 아나운서





 
 라디오께임에서 사회보는 박종세 아나운서
1960년대 인기프로그램  학교 즈프로그램의 원조다.



 
TBC 시절 청와대 초청받은 TBC아나운서들 모습
뒷줄 왼쪽부터 이장우, 박노설, 황인용, 박병학, 박종세,
조문자, 
이성화,  장세덕,
윤미자, 남정우, 길종휘,
앞줄 육영수 여사  좌 김동건, 성대석 
  



 2,000년 7월 13일 대한 체육회 창립 80주년을  맞아
  대한 체육회에서
박종세, 임택근, 황우겸아나운서에게 스포츠
중계방송 공로로 공로패를 수여했다.
대한 체육회가 중계방송을 한
아나운서에게 공로패 수여는 최초의 일이었다.
 
 

2014년 80회 생신을 맞던 그박종세님
    
방우회 이사 이장춘 춘하추동방송



 

  

 

5.16 박종세 1.mp3

 

 

 

 

 

5.16 박종세 1.mp3
1.47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