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MBC 초기방송비화 특별좌담, 이성화, 전응덕, 최광민, 김능화, 김영효, 정풍송, 김기자 부산 MBC 문화방송이 우리나라 최초의 라디오 민영방송으로 개국한것은 1959년 4월 15일이었습니다. 개국때 방송을 하신분들이 2008년에 만나 그 시절에 있었던 숨은 얘기들을 실감있게 말씀 해 주신 내용의 글이 이성화 아나운서의 블로그에 올라있기에 특별배려로 춘하추동방송에 올렸습.. 기본 2015.07.16
임국희 아나운서 특집대담 MBC 문화방송 김대호 아나운서, 한국아나운서클럽 1965년 MBC 「한밤의 음악편지」 그때 그 모습을 담은 임국희 아나운서다. MBC기자가 촬영해서 사진전시회에 출품했던 작품사진이다. 이 사진 얘기를 들은지 꾀 오래되었지만 2014년 12월 4일에야 볼 수 있었다. 액자로 된 전시회 작품 그대로 어딘가에 두었는데 찾지 못하다가 이제야 사진을 .. 한국아나운서클럽 2014.12.05
MBC, 문화방송 개국(1960년대) / 서울의 최초 민영 상업방송, 사가 1961년 12월 2일 아침 6시! MBC 여기는 문화 방송 입니다! HLKV, 부산 mbc에 이어 서울 MBC가 감격의 첫 방송을 내보내던 날이었습니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 15번지 동일빌딩에 자리 잡은 문화빙송은 이날부터 날마다 13시간씩 상업 광고주가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방송하면서 “국.. 민영방송 2013.12.21
MBC 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 김지태 5.16장학회 정수장학회 정수장학회가 이슈로 등장하면서 정수장학회와 mbc 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 그리고 김지태님과 5.16장학회 등에 관련해서 문의하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mbc 문화방송, 부산 문화방송, 부산일보, 부일장학회 등은 김지태님이 세운 언론매체이고 장학회였지만 헌납이.. 기본 2012.10.24
일기예보 (기상통보) 방송 85년, 김동완, 이보길, 조석준 이 땅에서 방송이 전파를 발사한 이래 일기예보는 우리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면서 하루에도 여러 번 씩 방송되어 왔습니다. 뉴스시간에 방송하기도 하고 어업기상통보와 같이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기도 했습니다. 오늘날에는 컴퓨터 그래픽으로 처리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양한 그래픽 화면과 함께 아름다운 자태와 음성을 지닌 여성 기상 캐스터들이 수시로 일기예보를 해 주지만 예전에는 형식이나 내용 등은 때에 따라서 많은 차이를 보여주었습니다. 1965년을 기해서 기상청 통보관이나 기상전문기자, 전문 기상캐스터, 리포터 등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아나운서의 목소리를 통해서 일기 예보가 전해졌습니다.일제강점기 방송초창기의 일기예보에 관해서 그 시절에 근무하셨던 이혜구선생님이 1950년대에 쓴 방송30년 종횡담의 .. 한국방송역사 90년 2012.03.22
방우회 (한국방송인 동우회) 2011년도 바른말 보도상 시상 원로방송인 모임인 사단법인 방우회(회장 한영섭)가 주는 2011년도 바른말 보도상은 한국방송공사 보도본부 1TV <뉴스광장> 앵커 박유한 차장, 문화방송 보도본부 TV <뉴스투데이> 앵커 박성호 차장, SBS 보도본부 TV <출발모닝와이드> 뉴스앵커 김용태 기자가 수상했습니다. 오.. 방우회·독립운동 2011.12.09
TV조선 개국을 축하합니다. TV조선 (CSTV)의 개국을 축하합니다. TV조선은 조선일보사에서 하는 방송이고 1920년에 창간된 조선일보는 오랜 세월 우리민족과 애환을 같이 해온 민족지입니다. 1940년 일제에 의해 오랜 기간 폐간되었던 아픈 역사도 있습니다, 민족지 조선일보는 이 땅에서 방송이 처음 나갈 때 부터 방송.. 기본 2011.11.16
MBC 탤런트 기별명단과 드라마 모습으로 본 그때 그 얼굴들 1969년 MBC가 TV방송을 실사하고 1970년대 들어서면서 어렵게만 느껴졌던 일일연속극이 TBC의 아씨가 선풍적이 인기를 끌며 성공을 거두면서 곧이어 KBS의 여로가 전무 후무한 시쳥율을 기록하면서 드라마 전성시대를 열어갈 무렵에 시작된 MBC의 새엄마와 KBS의 파도가 인기를 이어갔습니.. 민영방송 2011.10.13
MBC 문화방송 50년 역사 사옥 변천으로 본 시대별 방송의 특성 서울 MBC가 이 땅에서 첫 전파를 발사한지 올해(2011년)로 꼭 반세기 50년이 되었다. 상암동시대를 준비하고 있는 MBC의 지난 반세기를 사옥이 자리한 시대를 따라 흔히 인사동 시대, 정동시대, 여의도 시대라고 부르기도 한다. 인사동 시대가 라디오방송을 개국하고 전국 방송망을 확장하면.. 민영방송 2011.10.11
mbc 서울 문화방송 초기 방송인들 부산 mbc 문화방송 창설의 주역이기도 한 정환옥은 부산 mbc를 인수한 김지태의 자본을 바탕으로 김지태 이름으로 서울 mbc를 실질적으로 창설한 주인공이다. 서울 mbc문화방송 설립의 꿈을 안은 정환옥은 부산 mbc창설에 힘을 기울였던 김영출과 서울에 mbc설립을 추진하면서 일찍 부터 마음.. 민영방송 2011.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