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후 첫 3·1절, 한국방송역사 (10) 윤용노, 전인국, 문제안, 강찬선 단기 4279년 3월 1일 27년 만에 처음으로 마음놓고 맞이하는 국경일 3·1절! 이날아침 서울 종로의 임경이 울더니 오후 2시부터는 덕수궁 중화전 앞에서 흰저고리 검정치마 입은 조선의 딸들이 3·1절을 기념하는 ‘ 3·1운동의 노래’ 를 소리 높여 불으더라. 중화전 앞에서 중계하는 전인국.. 한국방송역사 90년 2017.07.11
강경화와 방송인들, 정동영 국회의원과 전 국회의원 전여옥이 말하는 강경화 동영상은 CBS 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 에서 방송된 내용입니다. ■ 방 송 : FM 98.1 (18:00~20:00) ■ 방송일 : 2017년 6월 8일 (목) 오후 ■ 진 행 : 정관용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교수) ■ 출 연 : 전여옥 전 의원 아래 영문자를 클릭하시면 글로 된 기사와 기사를 읽는 목소리를 함께 들으 .. 방송인물 2017.06.14
대북방송 1950년대 60년대 그 방송 그 목소리 유튜브에서 보기 https://youtu.be/3dgK73jSloY 1948년 이 땅에 우리 정부가 탄생하던 날 북한 동포들을 위한 30분간의 방송이 실시되고 그로부터 1972년 남북적십자회담으로 남과 북의 왕래가 이루어지기까지 대공방송, 대북방송, 자유대한의방송 이라는 이름으로 방송이 실시되었다. 세월 따라 제.. 기본 2017.05.30
강경화 외교부장관 지명자 삶과 인생역정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의 딸 강경화! 세계인류와 함께 하는 강경화! 강찬선 아나운서의 딸 강경화! KBS가 낳은 PD, 아나운서 강경화! 10 여년간, UN에서 요직을 맡아 활동하던 강경화가 2016년 12월 구테흐스 유엔 UN사무총장 정책특보에 취임하더니 문재인 정부 새 내각의 외교부장관에 지명되.. 방송인물 2017.05.22
강경화 UN사무총장 정책특보 취임을 축하합니다.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의 딸 강경화! UN사무총장 정책특보 취임을 축하합니다. 대한민국의 딸, 강경화! 강찬선 아나운서의 딸 강경화! KBS 한국방송 아나운서 출신 강경화! 그 강경화가 UN 신설직위인 사무총장 정책 특보에 임명되었다. 대한민국 외무부 국장으로 재직하던 강경화가 코피아.. 기본 2016.12.17
아나운서 방송역사 그이름 그 얼굴 KBS 한국방송 방송역사 90년! 아나운서 역사 90년! 1927년 2월 16일 이옥경 아나운서의 목소리가 전파를 타고 세상 사람들에게 전해졌다. 갖가지 화제를 뿌리며 고고의 소리를 (呱呱之聲) 울렸다. 이옥경은 일본인 아나운서 미쓰나가와 함께 개국방송 사회를 보며 정식방송을 내 보냈다. 방송역사의 시작.. 기본 2016.05.20
KBS 부산방송국 개국 40주년 동영상. 1975년 그때 그 사람들. 그 사연 그로부터 40여전의 세월이 흐른 오늘 시대가 바뀌어, 농경사회, 산업사회에서 정보화 사회로. 아날로그 시대에서 디지널 위성시대로, 흑백 시대에서 칼라시대가 되었다. 시대의 흐름으로 보면 농경사회 3,000년, 산업사회 300년, 정보화 사회 30년 이토록 대비되는 변화란다. 산업사회와 정.. 기본 2016.04.07
김경숙 1950년대 여성 아나운서 김경숙 1950년대 여성 아나운서! 벌써 방송국 아나운서생활을 한지 50년 반세기가 지났건만 어찌보면 인생의 가장 중요한 시기이기도 했던 그 시절이 기억에 생생하시단다. 4.19때 아직 아나운서생활 1년이 채 안되던 새내기 아나운서가 꿈에도 생각 할 수 없었던 그시절 가장 중요시 했던 .. 방송인물 2015.09.18
그때 그 시절 방송비화 맹관영아나운서 생방송 박정희 대통령 하관식 방송인이 오랜세월 방송을 하다보면 일반시청자들은 물론 방송인들도 잘 모르는 마이크 뒤에 숨은 얘기들이 많다. 오늘 얘기는 1967년 TBC 아나운서로부터 시작되어 1997년 KBS에서 정년퇴임 때까지 30여년에 걸친 맹관영 아나운서가 겪은 마이크 뒤의 흥미진진한 얘기가 경제풍월 2002년 6월.. 기본 2014.12.29
1959년 KBS아나운서 신입사원 명단과 그 얼굴(사진) 1959년에는 비교적 많은 아나운서가 입사했고 이전까지 적은 숫자의 여자 아나운서만을 모집했으나 이때부터 많은 여자 아나운서를 모집하기 시작해서 1960년대 들어 많은 여자 아나운서 목소리가 방송되었습니다. 중앙방송국만 해도 김정현, 김경숙, 김현수, 서선벽, 이연영 등 5명의 여.. 기본 201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