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하추동단상

1960년대의 춘천방송총국을 되돌아보면서

이장춘 2011. 9. 18. 04:14

 

 

 

필자는 1964년 11월 중순 춘천방송국에 부임하여

 개국 20주년을 맞이했고 1968년 4월 국제방송국 제 1과로

되돌아올 때가지 3년 반 동안 춘천방송국에서 프로그램 편성과

 제작 그리고 기사 취재활동에 임했었다. 40년이 지난 오늘(2004년 현재)

 “KBS 춘천방송국 60년” 사를 펴낸다는 얘기를 듣고 잔잔한 흥분과

함께 감동이 벅차 그날을 회상 해 보면서 희미한

옛날의 기억을 떠 올려 보았다.

 

이 글은 2004년에 발간된 춘천방송 60년사에

 필자가 기고해서 실린 원문 내용입니다.

  

춘하추동방송 이장춘

 

 

1960년대의 춘천방송국을 되돌아보면서

 

 

방송국 청사와 인원 장비

 

 

당시 내가 부임한 춘천방송국은

춘천시 옥천동 낮은 언덕에 세워진 단층 건물과

콘세트 함해서 모두 122평이었다. 지금으로 보면 시골

면사무소보다 더 작은 청사였다. 여기에 공개홀과 한평

남짓한 방송 스튜디오 그리고 성신소가 따로 없던

시절인지라 1Kw송신에 필요한 각종

기계까지 설치되어 있었다.

 

근무요원은 국장, 그리고 방송과에 과장과

 PD 2인, 기자 2인, 아나운서 3인 행정요원 1인 운전기사 1인,

청소부 1인, 그리고 기술과에 과장과 엔지니어 4인 이들이 전부였다.

도내 방송국으로는 지금과 같은 강릉, 원주, 속초기 있었지만 내가 방문한

원주와 속초의 청사는 말이 아니었다. 원주방송국은 내가 춘천에 부임 할 무렵

특수사정상 중계소 건물에 간판만 바꾸어 달면서 바로 개국했기 때문에 국장책상

마저도 제대로 놓을 수 없는 실정이고 속초방송국은 당시만 속초시내에 전기가

 들어가지 않은 시절이라 콘세트로 지어진 작은 작은 건물 곁에 발전기를

 설치하고 300W의 송신기를 가동시키면서 방송에 임하고 있었다.

 

강릉이나 속초, 원주 공히 근무요원 등 각각 10명 내외에

불과했다. 자동차는 웨곤 승용차 한 대로 국장을 비롯한 전 직원이

같이 이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프로그램 제작이나 기사 취재에 배정될 틈이

없었다. 걷든, 버스를 타던, 택시를 타던 모든 것을 자신이 해결해야 했다.

휴대용 녹음기는 흔히 아이스케이크 통으로 통하는 그 크고 무겁던 EMI

한 대와 다 낡아 거의 사용이 불가한 SONY한대, 이것이 PD,

기자들이 사용 할 수 있는 장비의 전부였다.

 

이와 같은 환경에서 그 많은 지역방송 편성시간을

 소화 해내기 위해서는 모든 직원이 하나가 되어 밤, 낮 없이

뛰어야만 했다. PD가 기사취재에 임했는가 하면 기자가 프로그램

 제작에 참여해서 혼신의 노력을 기울였다. 아나운서가 음악프로그램이나 

디스크자키 등의 프로그램을 전담하기도 했다. 겨울 난방시설이라야 연탄난로

밖에 없던 시절 그 곁에서 밤을 새우는 일이 비일 비재했다. 시간외 수당이나

 휴일수당 등의 용어가 존재하던 시절도 아니었다. 오직 사명감과 책임감

그리고 방송인이라는 자부심과 보람만이 있을 뿐이었다.

 

 

방송 상황과 편성내용

 

 

민간방송은 전혀 존재하지 않았고 TV는 1967년

 용문중계소가 설치되기 전까지는 시청이 불가능했다. 3시간

 정도의 자체방송을 포함한 19시간의 KBS라디오방송이 강원도민이

 접할 수 있는 유일한 전파매체였다. 당시의 프로그램 편성을 보면 뉴스는

 하루에 5회가 방송되었다. 낮 12시 서울 뉴스가 끝난후 5분 이상 오후 5시

5분부터 5분, 9시 10분부터 5분 아침 7시 15분부터 5분 이중에서 TV가

없었던 시절이어서 낮 12시 뉴스와 밤 9시 뉴스가 중요시 되었는데

12시 뉴스는 12시 55분까지 자체방송이 편성되어 있어서 방송시간에

제약이 없었으나 저녁 9시에는 10분부터 15분까지 또는 9시 7분부터

 10분까지 제한되어 있어서 뉴스가 많을 때에는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매일 방송되던 프로그램으로는

낮 12시 뉴스가 끝난 후 12시 55분까지 “노래의 꽃다발”

 심야 25분간 “봉의산의 오솔길” “명랑한 아침” 주 1회 또는 격주로

 방송되던 프로그램으로는 “KM무대” “KM 휴게실“ 노래자랑, 강원순례,

 태백이 낳은 인물, 농어촌의 시간, 마이크 가는대로, 전선의메아리, 명곡감상,

한미 친선아워, 라디오 상담실, 어린이 시간 등이 있었다. “KM무대”는 단막극으로

 제작되었는데 그 중 장국진작 이범진연출로 5회에 걸처 방송된 태백산맥과 이범진

작으로 3회에 걸쳐 방송된 개나리 꽃 피는 마을은 당시의 가수들에게 의뢰해서

 주제곡을 제작 할 정도로 심혈을 기울인 작품이었다.

 

최희준씨가 주제곡을 부른 태백산맥은

 ‘동해의 푸른 물결 파도 쳐 와도, 눈보라 모진바람

몰아쳐 와도....,의 주제곡 가사가 말해 주듯이 강원인의 기상을

그리는 프로그램으로 교육대학 부속 초등학교 남. 여 선생님과 어린이

 극회 회원들이 성우로 출연 해 주었고 주제곡을 강원도민의 노래로 불리기도

했었다. 조애희씨가 주제곡을 부른 개나리 꽃 피는 마을은 춘천시민의

포근한 마음을 그리는 드라마였다. 춘천시의 꽃이 개나리꽃으로

정해진 것도, 춘천시가 개나리 꽃 피는 마을로

알려진 것도 이때부터의 일이다.

 

마이크 가는 대로와 전선의 메아리는

각각 주 1회 녹음구성으로 방송 되었는데 특히

전선의 메아리는 춘천국의 지역 특성상 관내 야전군의

적극적인 호응과 지원을 받으면서 장수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

 했었다. 노래자랑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 군부대 순회 위문공연과

각 시군 순회공연이 이루어지는 등 도민이나 군과의 유대강화와

 도민 화함에도 크게 기여했다. 이 프로그램을 위해서 자체

 전속가수를 모집해서 양성하기도 했다.

 

 

출연인사와 재직간부

 

 

당시 춘천방송국에 자주 출연하던 인사로는

 최태호, 박석균, 조상현, 김남하, 조동걸, 한성석, 김춘선등이

 있었는데 최태호씨는 춘천교육대학 학장으로 재직하다가 국립 중앙

도서관장으로 전보되었다. 박석균씨는 강원일보 논설위원으로 재직 하다가

 문화공보부로 옮겨 재직하고 있었는데 내가 국제방송국에 근무하던 당시

 시사해설 연사로 추천하여 방송 하던중 재능이 알려 지면서 TV에

 본격 출연하게 되었고 전국 방방곡곡의 시골 노인들까지도

 박셕균을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명인사

 반열에 오르기도 했다.

 

 조동걸씨는 춘천교육대학 교수로 재직 하다가

국민대학으로 옮겨 오늘날 역사학계의 거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편 당시 춘천방송국장으로는 한승은, 장기범, 김영권, 장상규가 재직했는데

기범은 이미 타계하셨지만 한때 뛰어난 유어 감각과 부드러운 음성으로 뉴스를 비롯해서

재치문답, 에치켙선생 등 각종 프로그램에 출연해서 청취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훌륭한 아나운서

였다. 춘천방송국장 부임 뒤에도 에치켙 선생은 담당 PD의 현지 출장 녹음으로 전국에 방송

되곤 햇었다. 그때 이곳에 재직 중이던 윤병찬 기자는 에치캩선생을 곧 잘 흉내 내면서

사람들을 웃기기도 했다. 방송과장으로는 허종성, 최학수, 이명석,

 김종설, 유일봉이 재직했고 기술과장으로는 김원용,

이용실이 재직했다.

 

 

특히 잊혀 지지 않는 일들

 

1965년 여름 오대산 상원사에서 대학생

 13사람이 목숨을 잃은 대규모의 참사사건이 있었는데

 이때 특종한 일이나 그 모습 그리고 평창군 봉평면에서 태백이

나은 인물 이율곡 선생 편을 재작하던 중 간첩으로 신고 받아 경찰이

출동되었던 일도 잊혀 지지 않는 일이다. 녹음기 건전지가 얼면 녹음을

할 수 없었던 그 시절 먼 길까지 가서 많은 노력을 기울여 채취한 녹음물을

 사용 할 수 없게 되었을 때 황당했던 그 일들, 건전지 아끼려다가 녹음

속도가 맞지 않거나 상태가 불량하여 쓸 수 없게 되었을 때

 정해진 시간과 프로그램을 메우기 위해 발 동동 거리던

일등 잊혀 지지 않은 일등이 머리를 스쳐간다.

 

 

필자가 춘천에 부임하던 당시 강원도는

산으로 가자 바다로 가자는 기치를 높이 달고 산과

바다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그곳에서 부임과 동시에

춘천땜의 준공 모습을 보았고 그 후 의암땜의 착공광경을 보았으며

한계령의 군 작전도로를 군인들의 힘으로 확장공사에 임하던 장면도 보았다.

평창에 송어 양어장 착공 현장으 보았으며 거대한 산들을 뽕나무 밭으로

 혹은 화전민 정착촌으로 개간 해 가는 장면도 보았다.

 

용문산 중계서 개소와 함께 춘천과

원주룰 비롯한 강원도 영서지역 주민들이 TV화면을

 보면서 희열하는 모습을 보면서 같이 기뻐하던 그때 그리고 그

모습들을 전파에 실려 보내던 그 시절 가슴 벅찬 추억을 간직한 채

춘천과 강원도를 다시 한 번 돌아 볼 기회를 가졌다. 부임당시 서울과

 춘천간의 4시간이 걸리던 거리는 1시간으로 좁혀졌고 취재차 버스를 타고

 10시간을 달리던 춘천 강릉간의 거리는 3시간으로 좁혀졌으며 한계령의 

험한 작전도로는 훌륭한 관광도로로 변해 버렸다.

 

흐르던 소양강은 거대한 호수로 바뀌었고

시청 상태가 불량하여 때로는 부담을 느끼면서 시청하던

 TV가 그나마 1968년 초까지 2,000대도 안되던 강원도 내 흑백

TV수상기가 그동안 칼라 수상기로 바뀌고 위성 디지털 방송, CATV

등의 첨단 시스템이 첨가되면서 모든 가정에서 선명하게 그것도

수 십 채널을 동시에 볼 수 있는 시대가 열렸으니 이것을

가리켜 상전벽해라 하던가?

 

춘천방송국 60년을 맞아 앞으로도

춘천방송 총국을 비롯한 강원방송의 영원한

 발전을 빌면서 이 글을 마친다.

 

 

1967년 작원들 사진입니다. 뒷줄 왼쪽부터 김흥수,

 한태헌, 정경래, 장양, 정만철, 유일봉방송과장, 윤병찬, 김영권국장.

 이장춘, 이용실기술과장, 용씨, 오양, 강영희, 강완수, 오수정, 이길수, 윤성호

사농송신소장, 앞줄 왼쪽부터 천기태, 방영호, 엄호연, 이공순,

송흥식, 최승민, 한분은 기억 안납니다.

 

 

소양강 처녀 김태희.wma

 

소양강 처녀 김태희.wma
0.43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