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4호선 4번 출구 에서 서울둘레길 따라 남현동 동네길 승방 1길을 지나 관악산 언저리를 20 여분 걸으면 1,200 여년의 유서 깊은 사찰 관음사가 있다. 옛날에는 제법 큰 사찰이었을 것이라고 하지만 오랜 세월 관심밖의 사찰로 있다가 최근에 새로운 모습으로 탄생했다. 관악산 관음사! 필자가 2017년 3월 남한산성 을 탐방하고 8편의 탐방기를 쓰면서 '서울 둘레길' 완주목표로 길을 걷기시작해서 수서역에서 대모산, 구룡산, 우면산, 관악산 코스를 지나 안양천 가산디지털 역까지를 탐방한 적이 있다. 서울에 살면서도 못 가보았던 곳, 몰랐던 곳들이 많아 흥미로움이 있아 탐방기록을 정리하려고 했지만 다른 바쁜 일들이 탐방 길을 뒤로 미루고 말았다. 시간이 지나다 보니 그때의 사진촬영은 있어도 기억들이 사라져 그때의 감동이 살아나질 않는다. 다시 시작해서 서울둘레 길을 완주하리라 생각하며 지난 3월 서울 둘레 길 탐방에서 체험했던 관음사얘기 를 올린다. 남현동 승방 길을 지나 관악산 능선 언저리에 이르면 체력단련장이 있고 우체통을 활용해서 만든 관악산 코스1 스탬프 찍는 곳이 있다. 서울둘레실 완주 인증서를 받은분은 지금까지 17,000 여명이라로 했다. 이 스탬프 찍는 곳은 서울 들레길 구간에 28개가 있고 그 구간을 모두 통과하며 미리 받은 스탬프 북에 스탬프를 찍어 관리소 에 가지고 가면 인증서를 받을 수 있다. 서울 들레길 홈페이지에 자세한 얘기가 있다. 이곳에서 스탬프를 찍고 잠시 올라가면 일주문이 있다. 그 일주문 안으로 절에 이르기까지 길가에 신도들의 이름이 쓰인 석등들이 줄을 잇는다. 이 절에는 재단법인 불교방송이 발원한 불교방송 개국 기념대탑 9층 석탑과 기념비 가 있고 내 마음이 곧 부처라는 뜻으로 쓰인 '즉심시불' 卽心是佛 비가 있다 입구에는 이 절의 연혁이 자세히 적혀있다. 관음사는 관악산 줄기의 북쪽 사면에 위치한 대한불교 조계종 사찰로서, 신라 말엽인 895년(진성여왕 9년)에 도선국사가 창건한 비보사찰로 오렌 역사를 지닌 유서 깊은 관음기도도량 이다. 1977년 극락전해체시에 발견된 상량문을 보면 조선조 숙종 52년인 1716년 4월 21일에 극락전을 개축하였고, 영·정조 시대에 쓰여진 범우고와 가람고 및 여지도서에 의하면 관음사에 대한 대강의 기록과 함께 사찰 근처에 승방벌이라는 마을과 승방교라는 다리가 있었던 사실을 기술한 것으로 보아 관음사 사찰의 규모가 매우 컸던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봉은말사지에 의하면, 1924년에 전석주 스님이 요사체 1동을 신축하였고, 그후 정봉선 스님이 관음사 삼성각과 극락전을 다시 개축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근세에 이르러서는 창건역사와 유래에 걸맞은 발전을 하지 못하고 당우의 황폐화와 사세의 위축으로 그 명맥만 유지할 뿐이었다. 그러던 중 1973년 진산당 박종하 스님이 주지로 부임하여 사찰중흥을 위한 장기불사 계획을 수립하고 1977년에 정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형 관음사 대웅전을 다시 짓는 것을 시작으로, 대웅전과 석조 관세음보살입상 1980년부터 1989년 사이에 관음사 범종각 신축, 범종 조성,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 지붕형 삼성각 증·개축, 정·측면 각 1칸의 용왕각 증·개축 ㄱ자형의 요사채(7칸)를 신축하였다. 비보사찰은 명당에 절을 세우고 기도하면 나라가 융성하게 된다는 불교의 호국 사상에서 비롯되었다. 천여년 동안 기도의 도량으로 사용되어 오다가 1924년 주지 석주가 증축하였다. 대웅전과 석조 관세음보살입상 범종각 용왕각 삼성각 그리고 1992년에는 대웅전 마당 지하에 대 강당을 신축하고 강당내에 3천불을 조성했으며 1997년에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 지붕형 명부전과 동측 요사채1동 (3칸)을 추가 신축했다, 명부전과 불교방송개국기념 9층석탑 관련글 보기 영문자 클릭 남한산성 행궁 역사탐방 (1) 수어장대 남한산성 역사탐방(2) 경기유형문화재 제1호, 3호
http://blog.daum.net/jc21th/17783140 남한산성 역사탐방(4) 사적 제57호 남장대 터, 남옹성 http://blog.daum.net/jc21th/17783141 남한산성 역사탐방 (5) 동문 ‘벌봉’, 북문, 서문 http://blog.daum.net/jc21th/17783154 남한산성 역사탐방 (6) 숭렬전, 현절사, 청량당 남한산성 역사탐방 (8) 연무관, 지수당, 천주교 순교성지 등 문화유적, 한양도성 역사탐방 글 보기 한양도성 역사탐방 종합 44편, (조선조 5대궁 5편, 관련 글 28편포함) 해인사 여행 http://blog.daum.net/jc21th/17782849 금산사, 국보 62호 미륵전 彌勒殿 모악성지, 미륵성지 http://blog.daum.net/jc21th/17781913 용문사 龍門寺 http://blog.daum.net/jc21th/17782656 봉선사 奉先寺 http://blog.daum.net/jc21th/17782653 길상사된 아름다운 사연이 깃든곳 옛 대원각을 잦아, 김영한과 백석 http://blog.daum.net/jc21th/17780440 와우정사와 KBS 김해근님, 해월 삼장법사 http://blog.daum.net/jc21th/17781678 수덕사의 가을, 일엽스님과 송춘희 법사님, 그 노래 그 여승 http://blog.daum.net/jc21th/17781025 춘하추동방송 국내여행기 동영상 백두대간협곡열차 (O-train) 태백 정암사 영주부석사까지/ 노익중님 http://blog.daum.net/jc21th/17782023 내 고향 순창 복흥을 말한다. 산태극, 수태극의 명당 / 이장춘 순창 군립공원 강천산 http://blog.daum.net/jc21th/17781422
이장춘의 추월산 인연 http://blog.daum.net/jc21th/17781414
가마골과 6.25, 용소 영산강 시원 http://blog.daum.net/jc21th/17781421
내장산 가을재(秋領-가을 재, 갈재-葛재)의 추억 / 이장춘 http://blog.daum.net/jc21th/17781506
노령산맥 가을재, 복흥의 전라북도 산림박물관 http://blog.daum.net/jc21th/17780793
백양사와 춘하추동방송 http://blog.daum.net/jc21th/17781415
담양장터, 1950년대 대바구니, 참빗 대나무의 추억, http://blog.daum.net/jc21th/17781481
정읍 내장, 전봉준 공원을 지나며 http://blog.daum.net/jc21th/1778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