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한국 방송사 (1)/방송의 태동기 (1927~1945)

이장춘 2009. 10. 8. 11:42

   한국 방송사 (1)

 

 
 
       방송의 태동기 (1927~1945)
 
 

사단법인 경성방송국 설립 이듬해인 1927년  2월 16일 오랜 기간의 시험방송을 거쳐 마침내 본 방송이 개시되었고, 6월에는 최초로 무선 중계방송이 시행되기도 하였다. 1930년대에 접어들면서 방송 사업의 발전을 위해 전력이 증강되었고 한국어와 일본어가  별도의 채널을 통해 이중방송 됨에 따라 정동연주소가 증설되고, 연희방송소가 착공되었다. 1935년에는 방송망의 규모가 팽창함에 따라 경성방송국의 명칭이 경성중앙방송국으로 바뀌었고, 2년 후에는 주파수 변경과 아울러 제2방송이 출력을 증강함으로써 간이수신기로도 전국청취가 가능하게 되었다. 수신기도 고급화되어 스피커가 달린 수신기가 생산됨으로써 라디오 방송의 전성기를 맞게 되었다.

 

1927

1. 20
2. 16

경성방송국 시험방송 개시.
경성방송국 본방송 개시.
- 방송구역:한국일대 / 호출부호:JODK / 주파수:870kHz / 공중선전력:1kw / 방송편성:조선어3,일본어7 교차방송

2. 16
3

3. 18
5. 20
6. 15
6. 25
7
7. 4

9
10. 1
12

 

12. 31

개국 축하 방송. (이왕직 전속 경성음악대 및 중앙악우회 관현악단)
경성방송국 임시 선전부실 설치.
청취자 여론조사 실시.
최초의 실험 중계방송. (경성극장 무대공연 실황)
최초의 '지방의 날'로 '인천의 날' 현지방송 및 현지 라디오 강습회 실시
일반 라디오 팬을 위한 제1회 라디오 강습회 개최.
최초의 무선 중계방송 실시. (일본 제국극장의 무대극 실황)
방송 편성비율 한국어 2, 일본어 3으로 재조정.
총독부 체신국 경성방송국의 재정보조 요청 거절. (수신기 보급 부진 원인)
동화 현상모집. (당선자에세 광석수신기 1대씩 증정)
청취료 월 2원에서 월 1원으로 인하. (인하광고 전단지 공중 살포)
라디오극 연구회, 방송극 '현해탄', '銀杏樹', '춘향전', '여성',
'베니스의 상인', '其夜' 등 방송.
수신기 등록대수 : 5,260대(한국인 949대, 일본인 4,161대)

1928

2. 16
4
4. 13
10

11. 6

경성방송국 개국 1주년 기념방송 1주간 실시.
한,일어 '야간연예방송' 격일제 편성 실시.
JODK 전속 관현악단(지휘 홍난파) 초연.
극단 토월회 '혈육', '이대감 망할 대감' 방송극 방송.
(출연 이소연, 윤성묘, 서월영, 석금성, 전옥)
'이왕직 아악의 밤' 일본 전역 중계. (최초의 한국 아악 중계)

12

경성방송국 내에 가정고문계 설치.
(엽서 문의에 전문가의 해답 방송 실시)

1929

2
3. 1

청취 보급운동 실시. - 방송국 전사원에 청취자 모집수 할당.
방송시간 및 방송편성 대폭 개정.

1930

4
5. 13
6. 10
6. 30
9. 12
12. 31

경성라디오 드라마연구회, 방송극 '밤주막' 방송.
개장 예정인 조선박람회 선전방송 실시
'韓國古談'(인정, 풍속, 화제) 방송 시작(윤백남)
소사에 수신중계소 가설치.
조선박람회 개장으로 JODK 특설관 및 임시 방송실 개설, 공개방송 실시
수신기 등록대수 : 10,226대

1931

2
11
12

 

 12.26
12. 31

경성방송국 이중방송 실시 계획 착수
주안 수신소 설치
1931년부터 1945년까지 국악·아악 프로그램 편성을 이왕직 아악부가 전담.국악·아악 방송은 이왕직 아악부 연주실에서 유선으로 중계함.

경성방송극협회(비전속단체) 발족. (총지휘 박승일)
수신기 등록대수: 14,733대

1932

3

사단법인 경성방송국을 사단법인 조선방송협회로 개칭.

4. 7


8. 6

 

8. 7
9
10
11

사단법인 조선방송협회 설립.
방송과를 방송부로 승격.
제1방송과(일본어), 제2방송과(한국어) 분리.
연희방송소 착공 - 10kW 이중방송용(12월, 건물 준공-경기도 고양군 세교리 136)
정동연주소 증설착공(12월, 건물 준공)
일본의 '전국뉴스' 중계, 감독검열 관계상 방송 중지.
조선극우회 방송극 '항구의 비가'(연출 이서구) 방송.
최초의 한국어 아나운서 모집. ( 최아지, 김문경)

1933

1. 10

연희송신소 10kW 이중방송 시설 착공
- 공중선 전력 : 10kW 제1방송, 제2방송 동일
- 사용 주파수 : 제1방송 900kHz, 제2방송 610kWz

2. 24
4


4. 6
4. 18
4. 26
8. 5
8. 29

연희방송소 조정 시험 개시
체신국 '방송감독계' 신설.
경성방송국, 체신국 방송감독계와 직통전화 신설.
경성방송국 내에 '방송차단기' 설치 (일본인 감독관이 감청 조작)
연희방송소 시험방송 실시
체신국으로부터 연희방송소 10kW 송신설비 검정증서 받음.
경성방송국 이중방송 실시(제1방송 일본어, 제2방송 조선어)
'지방도시의 밤' 기획, 1차로 '평양의 밤' 현지 중계
방송극회 '라디오플레이미팅'의 방송극 '노차부'(김희창 작) 방송

11. 13
12
12. 31

'조선어강좌' 개시.(텍스트 발행 3년 후 조선어 말살운동으로 폐지)
조선방송협회 周知課, 전가입자에게 월간「DK뉴스」무료 배포.
수신기 등록대수 : 32,058대

1934

1. 8
2. 13
3. 26

 

4. 1
7
7. 31
8. 10
8. 18
9. 14
12. 31

제2방송, 전일본 대상 정기중계 첫 방송.
조선인 초등학교 어린이 '창가모음' 일본에 중계.
꾀꼬리회 어린이 동요 합창 일본에 중계 (곡명 : 달아달아, 새야, 비야, 반달 등)
최초로 경마 실황 중계
정동연주소 단파 수신장치 설치
조선방송협회에 '방송심의회' 설치(매월 1회)
세계여자올림픽 실황(국제방송) 일본으로부터 중계
제1회 방송심의회 개최
일본 체신청, 방송금지사항을 총독부 체신국(조선방송감독기관) 에 통고
수신기 등록대수 : 40,671대

1935

12

연간 일본대상 중계 연예 10회, 강연 6회, 어린이 시간 4회, 실황 4회
'종교강좌', '종교강좌', '부녀강좌', '농촌특별강좌' 등 조선인 사상 선도를 위한 프로그램
매주 2∼3회 방송.

1936

1. 11

라디오 등록 50,000대 돌파 축하 방송.
'한국의 정월놀이와 풍속' 일본에 중계.

2. 25
3. 17
3. 23
5
5. 20
7. 31
8. 2
11

11. 8
11. 15
12.
12. 30
12. 31

춘계 석존제 실황을 경성부 경학원에서 전국에 중계
일본 동경에서 방송연결회의 개최
평양방송국 설립 인가(4. 24. 시험방송 허가)
라디오 방송소설 공모
'상식강좌' 개시
조선방송협회, 국고보조금 19,000圓을 받음
제11회 베를린올림픽 실황을 일본으로부터 중계
鮮·滿 교환방송 계속 실시 결정
경성중앙방송국 제2방송, 50kW 출력 증강공사 착공 (12. 31 준공)
평양방송국 준공, 낙랑송신중계소 준공
평양방송국 이중방송 본방송 개시(JBBK, 출력 500w)
제2방송, 1936년 총방송시간 111,280분
방송극 현상 모집
수신기 등록대수 : 73,247대

1937

1. 10
2. 17
3

4
4. 17

 

6. 5
7. 11

 

11. 3

12
12. 31

경성중앙방송국 주파수 변경. (제1방송 710kHz / 제2방송 970kHz)
농아에 관한 강연 및 체험담 방송
'라디오플레이미팅' 방송극 '도깨비', '아버지의 마음 좋지' 방송.
청취자 배가운동 실시 일환으로 라디오 판매가격 세트당 20% 인하
JODK 여성합창단 설립
경성중앙방송국 제2방송 출력 50kW로 증강 (간이수신기로도 전국 청취 가능)
청진방송국 개국(JBCK, 850kHz)
총독부, 신문방송에 대해 국민정신총동원계획 실천에 협력요청. (7. 7. 중·일전쟁 발발)
제2방송에서도 '궁성 요배의 시간' 방송
(10. 1. 총독부 '황국신민의 서사' 제정, 전국민에 강요)
방송편성회 진용 보강(총독부 정보위원회 간사 포함)
수신기 등록대수 : 112,032대

1938

4. 1


6
10. 1
10. 1
10. 30
11.  1

'일본어강좌' 개시
(총독부, 각도에 일본어 강습소 1천여개 설치-전조선인에 일본어 학습 지시)
청취료 1원에서 75전(錢)으로 인하.
무선 신극회, 방송극 '소낙비'(윤백남 연출) 방송
이리방송국(제1방송) 개국(JBFK, 출력 500W, 570kHz)
함흥방송국(제1방송) 개국
노기남 신부 '성경해설' 방송

1939

1. 14
4
4. 10

 

8

 

9
9. 10
12.

12.

실황중계방송용 이동방송차 운행 개시 (이동무선중계시설 인가)
함흥방송국 이중방송 개시
조선방송협회, 동아방송협의회 구성원으로 가입 (구성원 : 조선, 일본, 대만, 만주)
제3대 제2방송 심우섭 과장 사임 (조선어 뉴스방송 일어 혼용 지시에 불복)
조선방송협회 기구 개편, 제1, 제2방송과를 부로 승격
경성방송관련악단 '관현악' 방송(홍난파 지휘)

노창성 제2방송부장 취임
경성중앙방송국, 최초로 녹음기 도입

1940

12.31

수신기 등록대수: 227,573대

1941

4. 1
4. 19

 

8

12
12. 8
12. 31

국민학교시행령에 의거, 학교방송위원회 설치
대구방송국(이중방송) 방송 개시 (JBGK, 출력 50W, 제1방송 630kHz, 제2방송 1070kHz)
청진방송국 이중방송 개시(JBCK)
부산방송국 이중방송 개시(JBAK)
강릉이동방송중계소(제1방송) 개소(JB가)
태평양전쟁 발발, 전시 특별편성, 제2방송에서는 내선일체 강화 강조
수신기 등록대수 272,000대

1942

2
2. 15

3. 21
4
4. 17
4. 27

 

 

11. 1
12
12. 7

조선방송협회, 전시 특별편성방침 수립
일본 내각정보국, 전시하 국내방송 프로그램 편성 기본정책 방향을 조선방송협회에 전달
광주방송국 이중방송 개시(JBHK)
이리방송국 이중방송 개시(JBFK)
'아나운서'를 적성어로 규정, '방송원'으로 개칭
주파수 관제로 제2방송(970kHz) 방송 중단, 제1방송·제2방송 710kHz로 방송
(단일방송으로 환원)
목포방송국(제1방송) 개국(JBNK) 출력 50W, 주파수 1280 
조선어 학습과 사용을 금지, 보도연맹으로 하여금 감시케 함
단파청취사건 발생(경성방송국 직원 6명)

1943

3
3. 22
4
4. 1
6

 

7. 15

7. 30
8

 

11.
11.

11. 10

단파청취사건 공판 개시
일본, 3월 22일을 방송기념일로 제정
마산방송소(제1방송) 개소(JBOK)
'뉴스'를 적성어로 규정, '보도'로 개칭
조선방송협회 직제 개편 - 제1 · 제2방송부 폐지, 편성과 제1 · 제2보도과 신설
대전방송국(제1방송) 개국(JBIK)
원산방송국(제1방송) 개국(JBJK)
수신기 등록대수 : 285,000대
해주방송국(제1방송) 개국(JBKK)

 

단파청취사건 결심공판(실형 선고 10명)
성진방송국(제1방송) 개국(JBPK)
제2방송, 주파수 1080kHz로 방송 재개(이중방송으로 환원)

1944

2.
3. 30
8.
8. 30
12

 

12. 20

 

조선방송협회, 진공관 재생공장 설치
전파관제로 전국 주야간 동일 주파수제 실시
'방송문화' 창간
수신기 등록대수 : 300, 050대
조선방송협회, 보도제일주의 방송 실시(전황 속보 위주)
조선어 방송 폐지론 대두
춘천방송국(제1방송) 개국(JBMK)

1945

6. 16
8. 13

청주방송국(제1방송) 개국(JBQK)
청진방송국, 일본군에 의해 폭파

 방우회 춘하추동방송